50여년간 방치됐던 서울·경기 접경지역 12곳 ‘보존+개발’ 관문도시로 키운다

입력 2018-03-22 22:34

서울시가 개발억제정책에 의해 50여년간 방치됐던 경기 접경지역 12곳을 ‘관문도시’로 키운다. 일단 사당과 도봉, 수색, 온수 지역을 1단계 사업지로 선정해 특성에 맞는 개발을 추진한다. 서울시는 ‘서울 관문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종합계획을 상반기 중 수립할 예정이라고 22일 밝혔다.

1단계 사업지는 4곳이다. 먼저 사당(동남권)은 ‘청년을 위한 거점도시’로 재탄생한다. 레미콘공장과 자동차정비소 등이 들어설 예정인 이 지역에 청년일터와 쉼터를 조성해 청년을 위한 공간으로 꾸민다. 사당 일대가 전체 유동인구 중 20∼30대 비율이 절반에 육박(42%)하는 등 청년이 많은 지역이라는 특성을 감안한 것이다. 일자리 인큐베이터와 청년·신혼부부 주택이 들어서며 ‘청년특구’가 조성된다.

도봉(동북권)은 ‘복합 체육·문화·생태 도시’로 방향을 잡았으며 11만㎡ 규모 동북권 최대 체육·문화·생태·복합단지가 들어선다. 서북권 수색은 코레일과 협력해 철도 중심 첨단물류기지와 지원단지를 조성해 ‘첨단 철도물류 거점도시’로 만든다. 산업쇠퇴 후 낡은 공장과 물류창고 거리로 전락한 서남권 온수에는 항동수목원과 산업유산을 활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이밖에도 신내, 개화, 신정, 석수 등이 ‘관문도시’로 거듭난다. 이미 개발이 진행 중인 수서, 강일, 양재, 구파발은 역세권개발사업이나 첨단업무단지 등 각 지역 특성에 맞는 개별 사업을 그대로 진행한다.

서울시가 관문도시를 지정해 개발에 나서기로 한 것은 이들 지역이 경계지역으로 서울의 첫 인상을 결정하는 관문이지만 방치돼왔던 곳이기 때문이다. 1970년대 서울 도시화가 한창 진행되던 당시 이들 지역은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막고 자연환경을 보호한다는 목적 아래 개발제한구역과 시계경관지구로 지정되며 개발이 제한됐다. 개발억제정책으로 오히려 불법건축물이나 기피시설만 난립하고 자연도 훼손되는 결과를 가져왔다는 분석이다. 그나마 개발제한이 해제된 곳들은 모두 주거지로만 채워진 상황이다.

서울시는 시계지역 관리 방식을 보존 위주에서 보존과 개발을 동시에 진행하는 방식으로 전환해 지역균형발전을 이루겠다는 계획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관문도시 사업은 그동안 방치했던 외곽 소외지역을 지역 특성에 맞게 거점으로 육성하거나 자연성을 회복하려는 것”이라며 “일자리 문제와 주거 문제를 위한 좋은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그래픽=이은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