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처치 강화… 외상사망률 20%로 낮춘다

입력 2018-03-23 05:00

권역외상센터 사망률은 10%로… 의료진 인건비 지원액도 확대

지난해 11월 총상을 입고 귀순한 북한군 병사의 외상 처치를 맡은 이국종 아주대 권역외상센터장은 환자 이송부터 수술까지 중증환자 진료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중증외상 진료체계에 국민적 관심이 쏠리면서 청와대 국민청원에도 관련된 요청이 빗발쳤다.

정부는 22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고 중증외상 진료체계 개선대책을 심의·확정했다. 중증외상환자의 사망률을 30.5%(2015년)에서 2025년까지 20%로 낮추기 위해 응급처치 대책부터 외상센터 인력 지원까지 대폭 강화한다는 내용이다. 권역외상센터의 경우 사망률을 21.4%(2015년)의 절반 수준인 10%까지 낮추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중증외상진료는 수익이 적지만 일은 고된 분야다. 맡으려는 의료인력은 적고 병원의 비용 지출은 크다. 이 때문에 중증외상환자 진료를 도맡는 권역외상센터는 운영의 어려움을 겪어왔다.

병원들도 중증외상 진료를 반기지 않는데다 긴급 이송 체계도 허술해 환자가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고 사망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2016년 9월 전북 전주에서 교통사고를 당한 고(故) 김민건(당시 2세) 군의 경우 외상센터로 옮겨져 수술대에 오르기까지 7시간이 걸렸다. 맨 처음 전북대병원 응급의료센터를 찾았지만 다시 이송됐다. 인근 권역외상센터였던 전남대병원과 국립의료원 등 병원 13곳에선 “전문의가 없다”는 이유로 접수를 거부했다. 경기도 수원에 있는 아주대병원에 도착했을 때 그는 이미 숨졌다.

중증외상환자의 경우 응급처치가 가장 중요하다. 전문적 진료를 받을 수 있는 권역외상센터로 바로 이송되는 환자의 비율은 6.5%에 불과하다. 119구급대는 현장응급처치 표준지침에 따라 대부분 환자를 가까운 의료기관에 먼저 이송한다. 이 중 절반 이상인 53%가 응급조치만 받고 다시 다른 병원이나 외상센터로 옮겨진다.

중증외상환자는 앞으로 가까운 의료기관이 아니라 권역외상센터로 우선 이송하고, 거리가 멀 경우 외상진료에 특화된 지역거점병원으로 환자를 바로 이송하게 된다. 지역별 도로망, 의료기관 분포 특성을 반영한 이송지도를 만들어 이송의 효율성도 제고한다. 전남대병원처럼 전문의가 없다는 이유로 환자를 거부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권역외상센터의 운영전반에 대한 평가도 강화한다.

환자의 빠른 이송을 위해 헬기 운용의 효율성도 높인다. 복지부는 119구급대와 병원의 응급환자 분류체계를 하나로 통합해 현장의 혼선을 없애기로 했다. 119종합상황실이 컨트롤타워가 돼 닥터헬기 6대뿐만 아니라 범정부부처 헬기 122대를 적절히 배치하는 역할을 맡기로 했다.

또 외상센터 간호 인력을 권고사항인 32명 이상으로 채용하면 1인당 최대 4000만원을 지원한다. 외상진료 전담 전문의 1인당 인건비 지원액도 1억2000만원에서 1억4400만원으로 20% 높이기로 했다. 응급환자 이송 과정에서 이뤄진 출혈·부종 등 처치, 손상부위 임시봉합술, 소생술 등에도 건강보험을 적용한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그래픽=공희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