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 지방자치단체와 상공계가 조선업 구조조정과 한국GM 사태로 위기에 처한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정부에 한 목소리로 대응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경남도는 성동조선과 STX조선해양의 고강도 구조조정이 진행되는 창원·통영·거제 지역에 대해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과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건의한다고 22일 밝혔다.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은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따라 위기 기업에 대한 지역경제 의존도 등을 고려해 산업부 장관이 지정한다. 고용위기지역은 고용노동부장관이 지정하며 고용유지지원금 확대, 실업급여 연장 등의 특례가 주어진다.
경남도는 조선업 특별고용 지원업종과 조선업희망센터를 내년 6월까지 연장하고 조선업실직자 재취업 지원 등 고용지원 방안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지난 2월 군산공장 폐쇄 결정 후 GM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GM창원공장 위기 대응 테스크포스’를 구성하는 등 긴박하게 대응하고 있다. 창원시도 주요 협력업체를 방문해 현황을 파악하고 있으며, 창원상공회의소와 연계해 한국GM 창원공장의 외국인투자지역 지정을 요청하고 있다.
한국GM 창원공장은 GM의 경차생산기지로 연간 21만대 생산능력을 갖춘 도내 유일의 완성차 생산 사업장이다. 정규직 1700여명, 비정규직(사내 협력사 직원) 700여명 등 2400여명을 고용하고 있다. 2016년 매출액은 2조6000억원으로 창원시 자동차·자동차부품 업종 전체 출하액(매출액)의 28.4%에 이른다.
한경호 경남지사 권한대행은 “성동조선과 STX 등 조선 위기뿐만 아니라 한국GM 사태로 지역경제가 유래 없는 위기상황에 직면해 있다”면서 “조선업과 자동차 제조업은 지역을 떠나 국가경제를 떠받치는 근간인만큼 사태 해결을 위해 정부와 정치권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창원·통영·거제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을”
입력 2018-03-22 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