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밸리·친환경차부품 기부금 부정사용 감사 착수
광주테크노파크 원장선임 정실인사 논란까지 ‘초상집’
민선 6기 종반에 접어든 광주시가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있다. 핵심 현안을 둘러싼 악재가 잇따라 터지면서 초상집 분위기다.
21일 광주시에 따르면 그동안 역점시책으로 추진해온 자동차밸리와 친환경차부품 클러스터 조성사업에 대해 감사위원회가 전면 감사에 착수했다. 기부금을 부적절하게 사용했다는 의혹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감사위는 기부금 일부가 골프라운딩 등에 사용됐다는 의혹에 따라 자동차산업밸리추진위를 상대로 감사를 벌이고 있다. 시는 투명한 감사 진행을 위해 해당 부서인 전략산업본부장과 해당 과장을 즉각 직위해제했지만 비등한 비판여론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동안 외부에서 1억원 넘게 받은 기부금 사용내역이 불투명해서다.
민선 6기 출범 이듬해인 2015년 민간단체로 출범한 자동차산업밸리추진위는 지정기부금 단체로 지정됐다. 첫해와 2016년에 각 4억원, 2017년 2억5000만원, 올해 3억5000만원 등 15억여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사용했거나 집행할 예정이다.
‘혈세 먹는 하마’로 불려온 제2순환도로 1구간(두암IC∼지원IC 5.6㎞) 수익보장 방식을 둘러싼 시와 민간투자사간 재협상 과정은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더구나 협상실무를 맡았던 광주시 전 간부공무원 A씨가 지난 19일 “억울하다”는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어 의혹이 커지고 있다.
A씨는 지난 지방선거 당시 윤장현 시장캠프 관계자로부터 자신의 부인과 딸의 계좌를 통해 수천만원을 받은 혐의로 그동안 경찰수사를 받아왔다. 경찰은 숨진 당사자 A씨에 대해 ‘공소권 없음’ 결정을 내렸으나 제2순환도로 수익보장 재협상 관련 수사는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경찰은 제2순환도로 민간투자 조건을 바꾸는 재협상 과정에서 공무원들이 뇌물을 받았을 개연성과 25억원대 수수료 지급과정의 적정성을 확인하고 있다.
광주테크노파크 원장 선임을 둘러싼 ‘정실인사’ 논란도 제기됐다. 시는 ‘지방선거 이후로 원장 선임을 연기하자’는 중소벤처기업부의 의견을 무시하고 원장 선임을 강행하려다 이사회가 무기한 연기돼 체면을 구겼다. 테크노파크 원장은 임원추천위원회가 추천한 복수 후보 중 이사회가 최종 후보를 선정하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승인하도록 규정돼 있다.
오는 6월 지방선거를 불과 2개월여 앞둔 시기에 악재가 꼬리를 물자 공무원들은 허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시의 한 공무원은 “촉망받는 간부 공무원이 업무에서 배제되고 과장급 전 공무원이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며 “침통하다 못해 우울하다는 동료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수사·감사·정실인사… 광주시 민선 6기 ‘마감 파티’
입력 2018-03-22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