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청년 창업농에게 3년간 월 100만원을 지급하는 ‘영농정착지원금’의 올해 지원 대상을 300명 더 늘린다. 창업 자금 융자 규모도 300명 정도 더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2억원 이상 추가 배정키로 했다. 추가로 필요한 예산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확보할 계획이다.
21일 기획재정부와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귀농하는 만 39세 이하 청년 지원 대상을 확대하기 위해 17억원 정도 추가 예산 편성이 검토되고 있다. 영농정착지원금을 14억5400만원 더 늘리고 창업농을 위한 융자 이차 보전금 2억2500만원을 신규 책정하는 게 주요 골자다.
추가 편성 예정인 영농정착지원금 예산은 300명 정도를 추가 지원할 수 있는 규모다. 농식품부는 당초 올해 1200명을 지원키로 했다. 공모를 진행한 결과 2.8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호응이 많은 만큼 지원 대상 인원을 더 늘리겠다는 것이다.
만 39세 이하 청년 창업농에게 특화한 융자금 지원책도 마련한다. 농식품부는 현재 창업농에게 1인당 최대 3억원의 창업자금과 7500만원의 주택구입·신축 자금을 2% 저리로 융자하고 있다. 이 경우 민간 대출 금리와 차이가 발생하는데, 차익은 예산으로 메워준다. 이 예산을 더 늘려 300명 정도의 융자금을 더 지원하기로 했다. 다만 지원 대상은 청년으로 한정했다. 영농정착지원금 확대를 통해 늘어나게 될 귀농자 수를 고려한 것이다.
아울러 정부는 청년뿐 아니라 전체 창업농에게 임대하는 공공농지 매입을 위해 400억원의 예산 투입을 검토하고 있다. 200㏊ 정도 공공농지를 늘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귀농자의 경우 1인 당 2㏊까지 공공농지 임대가 가능하다. 이를 감안하면 최소 200명 이상 지원 인원을 늘리겠다는 계산이 나온다.
귀농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문제 중 하나인 실제 농사짓는 법과 관련해선 교육 인원을 더 늘리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영농정착지원금 확대… 만 39세 이하 청년 더 유리
입력 2018-03-21 20:36 수정 2018-03-22 1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