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고독사 위험군을 미리 찾아내 예방하고 고독사를 맞은 이들의 공영장례를 지원한다. 공무원이 중심이 된 돌봄 활동 대신 동네 이웃이 손길을 뻗어 사회 연결고리를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서울시는 지역사회와 함께 사회안전망을 구축하는 내용의 ‘고독사 예방 종합대책’을 20일 발표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고독사 위험군인 은둔형 1인 가구의 경우 방문이 쉽지 않아 공공의 지원과 지역주민의 주도적 관심을 결합한 안전망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종합대책 핵심은 지역구성원이 함께 고독사 예방에 나선다는 것이다. 통장이나 집주인처럼 사정을 잘 아는 동네 이웃으로 ‘이웃살피미’를 구성해 반지하, 옥탑방, 임대아파트 등을 방문하게 된다. 가구 특성에 따른 매뉴얼에 따라 방문이 이뤄진다. 낙인감이나 자존감 때문에 방문을 거부하는 이들에게는 건강음료 배달 등을 통해 안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세상 밖으로 나온 1인 가구에게는 생계곤란, 질병, 실직, 은둔형 등 상황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한다. 고독사 위험에 놓인 1인 가구에는 서울형 긴급복지 생계비(30만원)를 현행 1회에서 최대 3회까지 확대 지원한다. 실직으로 사회관계가 단절된 은둔형 중장년 1인가구는 서울시50플러스재단이 중심이 돼 일자리, 상담, 교육을 종합 지원한다.
고독사를 맞이한 이들을 위해서는 공영장례서비스를 지원한다. 시신처리 위주의 현행 지원에서 벗어나 빈소 마련·장례 예식까지 지원해 존엄한 죽음이 될 수 있도록 추모·애도의 기간을 거친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나홀로 가구’ 이웃이 함께 돌본다
입력 2018-03-20 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