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장 퇴진 농성→ 용역 투입 충돌… 교육부까지 나섰다

입력 2018-03-21 05:01
총신대 사태 조사를 위해 현장 확인에 나선 교육부 관계자(왼쪽 두 번째)가 20일 서울 총신대 캠퍼스에서 권주식 총신대 법인국장(오른쪽 세 번째) 등의 안내를 받고 있다. 강민석 선임기자

학교측 임시휴업 공지하자 교육부 결국 수습에 나서
각종 민원 사실여부 확인… 학교 운영상황 전반 점검
비대위 “첫 단추 끼웠을 뿐 정상화될 때까지 투쟁할 것”


교육부가 ‘총신대(총장 김영우) 사태’와 관련해 20일 처음으로 실태조사에 나섰다. 김영우 총장 사퇴를 요구하는 학생들이 지난 1월 29일부터 종합관 점거 농성을 벌인 지 50일 만이다. 지난 17일 밤 총신대 재단이사회(이사장 박재선 목사)가 용역 업체 직원 50여명을 동원, 종합관에 강제 진입하는 과정에서 농성 중이던 학생들과 충돌하고 학교 측이 18일 ‘학내 비상사태’를 선언하며 임시휴업을 공지하자 뒤늦게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수습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20일 오후 2시 서울 동작구 총신대 캠퍼스엔 정문부터 종합관 입구까지 약 200m 길이의 ‘인간띠’가 등장했다. 교육부 관계자 탑승 차량이 들어서자 학생과 교수 500여명은 “개혁총신 총장사퇴. 임시이사 파송하라”고 외치며 차량을 따라 갔다. 현장을 찾은 박현득 교육부 사립대학정책과 사무관은 “내일(21일)부터 본격 진행될 조사에 앞서 조사환경 확인 차 방문한 것”이라며 말을 아꼈다.

교육부는 이재력 사립대학정책과장을 단장으로 8명의 실태조사단을 구성했다. 오는 23일까지 교육부에 제기된 각종 민원의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학사·인사·입시·회계·이사회 등 학교 운영상황 전반을 조사할 예정이다. 교육부엔 사태의 원인으로 지목된 김 총장의 교비횡령, 금품수수 의혹, 입시비리 조사요청 등이 관련 민원으로 제기돼 있다.

곽한락 총신대 신대원 비상대책위원장은 “이제 막 첫 단추를 끼웠을 뿐”이라며 “총회에 회계사 파견을 요청해 교육부 조사를 참관하도록 대비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김 총장과 재단이사들이 사퇴하고 학교 운영이 정상화될 때까지 목숨 걸고 투쟁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총신대 교수협의회 관계자는 “통상 실태조사 후 3∼4주 내에 감사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19일 열린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정부가 개입해서라도 총신대 정상화를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여야 정치권에도 형성된 만큼 감사를 통해 면밀하게 조사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총장은 이날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교육부에 누를 끼쳐 송구스럽다”며 “실태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고 했다.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합동 전계헌 총회장은 “교단 산하의 교육기관에서 발생한 갈등을 자체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것은 부끄러운 일이지만 교육부의 개입이 더 큰 충돌을 막을 수 있는 방패가 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총신대의 조속한 정상화를 위해 총장 측과 구체적으로 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기영 기자 ky710@kmib.co.kr

사진=강민석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