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검진 시범사업으로 발견된 환자 절반 이상이 수술로 치료 가능한 1, 2기 상태였다. 내년 폐암 국가검진 도입의 필요성이 확인된 셈이다. 올해부터 위·대장암 국가검진도 정확도 높은 내시경 검사를 우선 실시하도록 권고안이 바뀌었다.
2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5일 기준 폐암 검진 시범사업 참여자 5719명 가운데 29명이 최종 폐암 확진을 받았다. 병기(病期)가 확인된 25명 가운데 56%가 조기 폐암으로 진단됐다. 국내 전체 폐암 환자의 조기 폐암 비율(2011∼2015년 확진자의 21%)보다 배 이상 높은 수치다. 폐암 검진의 조기 발견 효과가 검증된 것으로 해석된다.
복지부는 지난해 4월부터 30갑년(30년간 매일 1갑씩 흡연) 이상 흡연력을 가진 만 55∼74세를 대상으로 저선량 컴퓨터단층촬영(CT)을 활용한 폐암 검진 사업을 하고 있다.
정부는 암 검진의 정확성을 높이고 국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검진제도 일부를 개선했다. 기존에는 위암과 대장암 검진을 받을 경우 위·대장촬영술(조영제 투여 후 검사)과 내시경 검사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으나 앞으로는 정확도가 높은 내시경 검사를 우선 받도록 권고안을 변경했다. 건강상태 등으로 내시경 검사가 어려운 경우 촬영술을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올해부터 국가 대장암 검진에 드는 비용을 전액 건강보험에서 부담토록 해 만 50세 이상 대상자는 누구나 무료로 받을 수 있다. 종전에는 대변에 피가 섞여있는지를 보는 분변잠혈 검사 5000원, 여기서 양성일 경우 추가로 하는 대장내시경 검사 10만원 등의 총비용에서 10%를 부담해야 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폐암국가검진 시범사업서 29명 발견… 절반 이상 1·2기
입력 2018-03-21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