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수소전기차 ‘넥쏘’ 예약 하루 만에 733대 판매
올 보조금 지급 대수의 ‘3배’… 일반 전기차도 이미 ‘고갈’
정부, 추가 지원 방안 검토
현대자동차의 수소전기차 ‘넥쏘’가 예약 판매량이 하루 만에 보조금 지급 대수를 3배 이상 초과하며 질주하고 있다. 일반 전기차 수요도 일찌감치 올해 보조금 지급 대수를 앞질러 우려했던 ‘보조금 고갈 사태’가 현실화하고 있다. 일반 전기차와 수소전기차 등 친환경차에 대한 수요를 정책이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20일 현대자동차에 따르면 넥쏘는 하루 만에 예약판매 대수 733대를 기록했다. 19일 예약판매를 개시한 넥쏘는 첫날에만 서울 227대, 울산 238대 예약이 몰렸다.
올해 환경부가 책정한 수소전기차 국고보조금은 1대당 2250만원씩 158대다. 지난해 이월된 금액까지 포함하면 총 240여대가 지급 대상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다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이 1000만∼1250만원 추가된다.
친환경차가 환경개선 효과는 크지만 동급 내연기관차에 비해 2배 가까운 고가여서 보조금 없이는 구매 동기가 떨어진다. 넥쏘의 경우도 판매가는 모델별로 6800만∼7200여만원으로 보조금을 받아야 동급 중형 SUV 수준인 3390만∼3720만원에서 구매할 수 있다.
문제는 수요에 비해 보조금 지원 대상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업계 관계자는 “보조금 지급은 통상 차량 출고일을 기준으로 선착순으로 정해진다”며 “특별히 친환경차에 뜻이 있는 고객을 제외하면 보조금을 지급받지 못한 사전계약자들은 대부분 구매를 포기한다”고 전했다.
일반 전기차 보조금도 비슷한 상황이다. 사실상 대중에게 첫 판매되는 수소전기차와는 달리 일반 전기차는 올해부터 수요가 폭발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올해 출시되는 일반 전기차 모델은 주행거리가 최대 380㎞에 달해 전기차의 최대 단점인 잦은 충전 문제를 극복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다음 달 출시 예정인 현대차 전기차 코나는 사전계약이 1만8000대를 넘어섰고, 7월 출시 예정인 기아차 전기차 니로도 사전계약이 5225대를 기록했다. 한국GM 전기차 볼트도 올해 공급물량 4700대가 전량 계약을 마쳤다. 여기에 기존 전기차 모델과 하반기 출시 모델까지 감안하면 올해 전기차 수요가 3만대를 훨씬 초과한다.
하지만 정부는 보조금 지원 대상을 보수적으로 추산했다. 올해 환경부가 지원하는 전기차 보조금은 2만대다. 환경부는 당초 수요 조사를 바탕으로 보조금 지급 대상을 3만대로 정했지만 예산 심의 과정에서 2만대로 축소됐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추경을 통해 보조금을 추가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도 보조금 지급 대상이 되는 고객을 선점하기 위해 출고 시기를 최대한 앞당기려는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보조금 지원을 지속할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한국의 친환경차 지원이 이미 선진국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인데다 국민 세금을 들여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지원하는 정책에 대해서는 토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림대 김필수 교수는 “한국은 선진국 대비 보조금이 높은 편이지만 친환경차가 활성화되고 있기 때문에 지금 찬물을 끼얹어선 안 된다”며 “친환경차 기술이 선진국 대비 3∼5년 뒤져있기 때문에 한국이 주도할 수 있는 차종을 개발할 수 있도록 보조금 감축도 속도 조절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
전기·수소차 수요 폭증… 감당 못하는 ‘친환경차 보조금’
입력 2018-03-21 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