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청년드림’ 국가사업으로 확대

입력 2018-03-19 18:53
광주광역시가 지난해부터 추진해온 청년일자리 지원사업 ‘청년드림’이 국가사업으로 확대된다. 광주시는 “정부의 청년일자리 대책 보고회의에서 청년드림이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창출방안’으로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 청년드림은 이에 따라 올 상반기 국고보조사업으로 지정되고 하반기에는 타 지자체에서 적극 도입하도록 각종 지원이 강화된다.

미취업 청년을 위한 청년드림은 다양한 직무현장에서 경험을 쌓도록 지자체가 급여를 지원하면서 민간 취업을 유도하는 일자리 디딤돌 정책이다. 시는 매주 25시간씩 4개월간 시간당 8410원의 생활임금을 적용한 급여를 지급한다. 지난해의 경우 1·2기 청년드림에 참여한 280명 중 88명(31%)은 직무경험을 하던 곳에 정규직으로 취업하는 성과를 거뒀다. 직무경험 기간 동안 구직·구인의 눈높이를 맞춘 결과다.

시는 공공기관과 청년창업기업, 사회복지, 사회적 기업 등 6개 유형으로 나눠 19∼34세의 구직 청년들에게 직무현장을 제공하고 있다. 청년들은 원하는 사업장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 구직 청년과 구인 기업들은 이를 통해 ‘일자리 미스매치’의 시행착오를 줄이고 있다.

3기 청년드림 시행에 들어간 올해는 구직수당을 포함한 고용지원과 금융복지, 주거 서비스 등 비고용 대책까지 추가해 ‘광주형 청년보장’ 정책으로 확대됐다. 공·폐가를 활용한 청년공동체 주택을 세워 주거문제가지 해결하는 방식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