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는 16일 황사와 미세먼지에 대비해 보건용 마스크를 구입할 때는 의약외품으로 허가된 마스크인지 확인하고, 입자 차단 성능을 나타내는 KF80 KF94 KF99 표시도 살피라고 당부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황사나 미세먼지처럼 입자성 유해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려면 의약외품으로 허가된 보건용 마스크를 사용해야 한다. 일반 면마스크는 황사나 미세먼지 입자를 걸러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콧속에 삽입해 미세먼지 입자를 차단하는 일명 코마스크가 나오기도 했지만 전체 호흡기를 보호할 수 없어 의약외품으로 허가받지 못했다.
차단 성능을 나타내는 KF(Korea Filter) 표시도 확인해야 한다. KF80은 평균 0.6㎛ 입자를 80% 이상 걸러낼 수 있다는 뜻이다. KF94와 KF99는 평균 0.4㎛ 입자를 각각 94%, 99% 이상 차단할 수 있다. KF 뒤에 붙은 숫자가 클수록 차단 효과가 크지만 숨을 쉬기 불편할 수 있어 개인별 호흡량을 고려해 선택하라고 식약처는 전했다.
보건용 마스크는 빨아 쓰거나 재사용해선 안 된다. 착용 후에는 마스크 겉면이 오염되므로 만지지 않는 게 좋다. 현재 국내에서 의약외품으로 허가된 보건용 마스크(372제품)의 품목 현황은 식약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식약처는 “허가된 보건용 마스크를 착용하고, 외출 후에는 얼굴과 손발을 깨끗이 씻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임주언 기자 eon@kmib.co.kr
미세먼지 막는 보건용 마스크 “KF표시 확인… 재사용은 안 돼”
입력 2018-03-16 1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