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의 행복지수가 지난해보다 2단계 떨어진 57위로 조사됐다. 유엔 산하 자문기구인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는 14일 세계 156개국을 상대로 국민 행복도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단체는 국내총생산(GDP), 기대수명, 사회적 지원, 삶 선택의 자유, 부패에 대한 인식, 사회의 너그러움 등을 기준으로 국가별 행복지수를 산출했다.
대한민국은 2010∼2012년 41위를 차지한 이후 거의 매년 뒷걸음쳤다. GDP 규모 기준 지난해 세계 11위의 경제대국임에도 행복도는 경제 위상에 한참 뒤처진다. 소득이 일정 수준을 넘어 기본 욕구가 충족되면 경제가 더 성장해도 행복은 커지지 않는다는 이론인 ‘이스털린의 역설’이 확인된다. 비슷한 경제력을 가진 나라 중에서 한국은 행복도가 가장 낮다. 사회적 지원, 삶 선택의 자유 등 사회적 요소가 저조하기 때문이다. 정책의 중심이 오직 화폐소득으로 계측되는 GDP 같은 숫자에 매몰되는 한 국민의 행복감은 절대 증대되지 않는다는 얘기다.
행복은 주관적 안녕감에서 비롯되나 결국은 다양한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사회적 결과물이다. 배려와 신뢰가 줄어들고 관계의 단절이 증폭되는 상황에서 돈을 좀 더 번다고 결코 행복하지 않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민 행복을 최우선시하는 나라가 늘고 있다. 경제 성장이 더 이상 행복을 담보하지 못한다는 데 상당수 국가가 동의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도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데 더 주력해야겠다. 사회적 공감대를 거쳐 우리에게 적합한 행복 모델을 찾고 국정의 우선순위를 여기에 두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무엇을 위한 소득이고 성장인지 진지하게 따져볼 때가 됐다. 정부는 올 상반기 중 한국형 국민행복지수를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계기로 정책 운용의 무게중심을 국민 행복 제고에 두는 등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더한층 매진해야 한다.
[사설] 경제는 성장하는데 갈수록 덜 행복하다는 현실
입력 2018-03-16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