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정부 창조경제센터, 혁신커녕 채용비리 얼룩

입력 2018-03-15 05:03

박근혜정부의 역점 사업으로 추진된 창조경제혁신센터마저 채용비리로 얼룩진 것으로 드러났다. 일부 센터는 ‘혁신’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복마전’이나 다름없었다.

대구창조경제센터는 특정 직원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내부 고위 인사의 지시를 받고 서류심사를 생략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주임급으로 채용해야 할 사람을 선임급으로 채용한 사실도 확인됐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산하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채용에 대한 특별점검을 실시해 14일 발표한 결과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박근혜정부가 지역마다 대기업을 지정해 중소기업을 지원하겠다는 취지로 전국에 19개를 설립했다.

대전창조경제센터에서는 센터 관계자의 전 직장 동료 자녀가 채용 특혜를 받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전센터는 내부 직원만으로 채용평가위원회를 꾸렸고 특혜 대상자는 규정에 비해 외국어 가점을 과다하게 받았다. 중기부는 대구·대전 두 곳의 창조경제센터 관계자들에 대한 수사를 의뢰했다.

부산창조경제센터에서는 센터 내 계약직으로 근무하던 인력이 정규직으로 채용되는 과정에서 특혜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부산센터 직원들이 자체적으로 계약직 직원을 심사했고 전산 관련 자격증과 어학 성적이 없는데도 ‘전산 활용능력 및 외국어 탁월’이라고 평가했다.

울산창조경제센터는 지역 내 청년들의 취업·창업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고용존’을 설치할 인력을 모집할 때 공개채용을 진행하지 않았다. 설치 인력을 시급히 충원해야 한다는 이유에서였다. 대신 정규직 사원이 해당 업무에 특별채용됐다. 부산과 울산 창조경제센터에서 채용비리에 연루된 인사들은 징계와 문책을 받았다.

이번 특별점검에서는 중소기업 관련 공공기관 전반에 채용비리가 만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9개 공공기관, 22개 공직 유관단체의 과거 5년간 채용 전반에 대해 점검한 결과 31개 기관에서 총 140건의 채용비리 또는 채용비리 의심 사례가 적발됐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중소기업유통센터, 한국벤처투자 등에서 고위 인사가 채용 과정에 개입해 전횡을 저질렀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