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마이크 폼페이오 신임 국무장관 지명자를 비롯해 강경파로 외교안보 라인을 채우면서 미국의 중동 정책이 강경 일변도로 흐를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영국 소재 중동 전문매체 미들이스트아이(MEE)는 렉스 틸러슨(사진) 국무장관의 경질로 이란 핵협정이 위태로워졌다고 13일(현지시간) 진단했다. 틸러슨은 트럼프 행정부 내 몇 안 되는 대화론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이란 핵협정을 전면 폐기하자는 트럼프 대통령과 달리 수정·보완을 통해 협정을 유지하자는 의견을 내왔다.
이란과 미국 등이 2015년 7월 타결한 핵협정은 이란이 서방의 제재 해제를 조건으로 고농축 우라늄 개발을 중단하는 내용이 골자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이 협정을 ‘사상 최악의 협정’이라고 비판하며 파기를 시사해 왔다. 그는 지난 1월 이란 제재 면제 조치를 일단 연장하면서도 협정의 허점을 바로잡을 마지막 기회라고 경고했다.
폼페이오는 이란을 더욱 강력하게 압박해야 한다고 주장해 온 강경파다. 그는 이란을 테러 국가로 보는 트럼프 대통령과 견해를 같이하면서 이란 핵협정이 미국 안보에 이익이 되지 않는 ‘실수’라고 비판한 바 있다.
이란 전문가 홀리 다그레스는 “이제 핵협정은 전보다 훨씬 심각한 위기에 놓였다”며 폼페이오가 핵협정을 역행하겠다고 주장했음을 상기시켰다. 그는 “폼페이오는 핵협정을 강력히 반대할 뿐만 아니라 이란의 정권교체를 지지하기까지 한다”며 “유럽이 새로운 지침을 따라달라고 이란을 설득하지 못한다면 협정이 폐기될 공산이 크다”고 전망했다.
폼페이오 지명으로 미국은 중동 정책에서 동맹과 비동맹을 더욱 차별할 가능성이 높다. 친이스라엘 정책 등은 탄력을 받는 반면 중동 내 갈등은 고조될 것으로 예상된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
틸러슨 경질에 이란核 후폭풍… 온건파 사라져 협정 파기 우려
입력 2018-03-15 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