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북한의 비핵화를 전제로 한 대화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아베 총리는 13일 대북 특사단의 방북 및 방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방일한 서훈 국가정보원장과의 면담에서 “핵·미사일, 납치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일본의 기본적인 방침”이라며 “비핵화를 전제로 한 (북한과의) 대화에 대해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고 NHK방송이 보도했다. 아베 총리는 이어 “북한이 비핵화를 향한 구체적인 행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한·미·일 공조를 바탕으로 한국과 긴밀히 연계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진력하겠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북한이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북·미 정상회담에서 큰 담판을 해야 하는 상황인 만큼 이 기회를 단순히 시간벌기용으로 이용할 것으로는 보지 않는다”며 “현재의 상황 변화는 그동안 한·미·일 세 나라가 긴밀히 공조해 온 결과”라고 덧붙였다.
총리 관저에서 이뤄진 면담에는 서 원장과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 이수훈 주일대사가 참석했다. 일본 측에서는 고노 다로 외무상,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 등이 배석했다. 당초 15분으로 예정됐던 면담은 1시간 가까이 이어졌다.
아베 총리는 특히 면담에서 “최근 남북 관계 진전, 한반도 비핵화 움직임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의 리더십에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 발언은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대화 국면을 조성해온 문 대통령의 구상에 반대하며 대북 강경 대응만 고집하던 과거 모습과 확연히 달라진 것이다.
아베 총리는 한·미 연합 군사훈련 일정 연기가 확정된 이후인 지난달 9일 한·일 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에게 “한·미 연합훈련을 연기할 단계가 아니다”고 말했다. 지난해에도 우리 정부의 대북 인도적 지원 방침에 대해 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대북 인도적 지원 시기를 고려해 달라”는 취지로 말하는 등 우리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에 계속 반대해 왔다. 아베 총리의 갑작스러운 태도 변화는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북·미 정상회담까지 성사될 가능성이 커지자 ‘재팬 패싱(일본 배제)’을 우려한 차원으로 보인다.
아베 총리는 면담에서 서 원장에게 자신과 똑같은 의자를 제공해 의전에서도 과거와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문희상 더불어민주당 의원, 강경화 외교부 장관,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면담 당시 낮은 의자를 제공해 ‘의전 차별’ 논란을 불러왔던 것과는 180도 바뀐 것이다. 한편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러시아를 방문,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을 만나 최근 상황을 설명했다.
장지영 권지혜 기자 jyjang@kmib.co.kr
아베 “비핵화 전제 북한과 대화 환영”
입력 2018-03-13 18:49 수정 2018-03-13 2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