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봄바람 몰고온 북한발 훈풍… 3거래일 모두 1%대↑

입력 2018-03-13 05:05

코스피지수가 ‘대북 리스크 완화’ 훈풍을 타고 있다. 과거 남북 정상회담 당시 증시 상황을 봤을 때 이런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된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전문가들은 남북 정상회담 이후의 증시는 결국 남북협약 체결 여부와 경제 펀더멘털(기초체력)에 달렸다고 본다.

코스피지수는 12일 1.0% 오른 2484.12에 장을 마쳤다. 코스피지수는 지난 6일 정부의 남북 정상회담 계획 발표 이후 지난 7일 하루를 제외한 3거래일 모두 1%대 이상의 상승률을 보였다. 이날 외국인이 1976억원, 기관은 968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1·2차 남북 정상회담이 열렸던 2000년과 2007년에도 국내 증시는 환호성을 질렀다. 1차 회담 당시 코스피지수는 20일 만에 650선에서 850선까지 껑충 뛰었다. 2007년에도 회담 개최가 결정됐던 8월 1800선 중반에 걸쳐 있던 코스피지수는 개최 당일 2000대까지 치솟았다. 전문가들은 대북 리스크가 외국인의 한국 증시 투자를 망설이게 만드는 대표적인 요소인 만큼 남북문제 해소가 증시 호조로 이어진다고 본다.

문제는 정상회담 이후다. 과거 두 차례 모두 남북 정상회담이 열리고 한 달이 지나자 코스피지수는 ‘정상회담 효과’를 보이기 전 지수대로 추락했다. 이에 대해 안영진 SK증권 연구원은 “결국 두 차례의 남북 정상회담 모두 지속적인 남북 협력 없이 일시적인 이벤트로 마무리돼 ‘대북 리스크’가 되살아났기 때문”이라며 “국가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지표인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나 원·달러 환율 역시 정상회담 직전엔 양호한 모습을 보이다가 갈수록 불안정한 추세로 전환됐다”고 봤다.

결국 지속적인 남북 협력과 건강한 경제 기반이 있어야 증시 상승세가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다이 메르츠종금증권 연구원은 “북한이 여전히 유엔 제재를 받고 있고 핵무기를 완전히 버린다고 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등 이달 발표될 경기 지표가 좋아야만 증시 오름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 연구원은 “지속적인 협력을 약속하는 남북 간 약속 등이 회담 결과로 나타나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