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이 자국을 방문한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에게 1억 파운드(약 1481억6800만원)의 원조를 약속해 ‘국가적 망신’이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일간 가디언 등 현지 언론은 10일(현지시간) 정부가 사우디와 1억 파운드 규모의 원조 계약을 체결해 논란이 일고 있다고 전했다. 양국이 원조 목적의 계약을 체결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영국 정부는 이에 대해 “사우디의 경제 개발을 돕고 생계 문제를 개선할 새로운 장기적 협력”이라고 설명했다. 계획을 승인한 영국 원조기구 국제개발부(DfID)는 “가뭄과 분쟁에 시달리는 국가에 중요한 기반 시설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영국의 기술이 필요한 나라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면 세계 번영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야권과 시민사회에서는 예멘 분쟁에 개입해 민간인 희생을 늘리고 극단주의 무장단체에 자금을 지원하는 등 인도주의적 위기를 불러온 사우디에 이 같은 ‘선물’을 안긴 데 대해 비난 여론이 빗발치고 있다. 게다가 사우디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2만 달러(약 2140만원) 수준으로 가난한 나라도 아니다.
제1야당 노동당의 케이트 오사모르 예비내각 국제개발장관은 “이번 원조 계약은 영국을 조롱거리로 만드는 일”이라며 “예멘에서 840만명의 인구가 기근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영국과 사우디가 손을 잡은 것은 인도주의적 위기 해결 지원국과 유발국이 손을 잡은 것”이라고 비난했다. 영국 국제앰네스티는 “영국이 한 손으로 인도주의적 원조를 제공하면서 다른 한 손으로는 인도주의적 위기를 불러오는 무기(사우디)를 지원하는 것은 설명할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사우디 원조는 국가적 망신”
입력 2018-03-11 1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