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안태근 성추행 조사 지지부진

입력 2018-03-12 05:00
사진=뉴시스

서지현 검사가 지난 1월 26일 자신의 성추행 피해를 폭로한 지 44일이 지났지만 가해자로 지목된 안태근 전 검사장에 대한 사법처리는 답보 상태다. 안 전 검사장은 지난달 26일 검찰 ‘성추행사건 진상규명 및 피해회복조사단’에 출석해 한 차례 조사를 받았을 뿐이다. 조사단 관계자는 11일 “수사 상황에 대한 특별한 입장은 없다”고 했다.

서 검사는 2010년 안 전 검사장에게 성추행을 당한 후 2014년 수원지검 여주지청 근무 당시 사무감사에서 다수 지적을 받은 뒤 검찰총장 경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2015년 8월엔 창원지검 통영지청으로 발령을 받는 등 부당한 사무감사와 인사 불이익을 받았다고도 주장했다. 통영지청 발령 당시 안 전 검사장은 검찰 인사를 총괄하는 법무부 검찰국장이었다.

안 전 검사장은 직권남용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단에 소환됐다. 소환 이후 조사단 측에서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자 서 검사 측은 “한 달 가까운 조사 기간에도 불구하고 사무감사 및 2차 가해에 대한 조사 등이 진전되지 않아 답답함을 느낀다”고 호소했다.

지난 5일에는 “안 전 검사장의 성추행 혐의에 대한 사실관계만이라도 조속히 확정해 달라”고 했다. 하지만 조사단은 아직 안 전 검사장의 신병 처리 여부도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 검사의 성추행 피해 등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 사이 그를 둘러싼 소문도 무성해졌다. 서 검사 측은 “검찰 내부망과 SNS 등에 글을 올린 인물에 대한 조사·처벌을 요구한다”며 ‘2차 가해’를 막아달라고 했다.

서울의 A부장검사는 지난 1월 31일 ‘성추행 피해를 인사 문제와 결부시키지 말라’는 취지의 글을 검찰 내부망에 올렸다. 그는 “가해자를 처벌받도록 해 달라는 요구 등은 팔 걷고 돕겠다”며 “‘피해를 당했으니 서울로 발령내 달라, 대검찰청 보내 달라, 법무부 보내 달라’ 등의 요구를 하신다면 도와드릴 수 없음을 깊이 양해 바란다”고 적었다. 조사단은 관련 내용을 살펴본 후 입건 여부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