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특단 대책이 이번 주에 모습을 드러낸다. 정부는 ‘직접 지원’이라는 새로운 틀을 바탕으로 모든 정책수단을 총동원하는 일자리 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정부는 15일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을 열고 청년 일자리 대책을 발표한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청년 일자리 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다. 특단의 대책을 위해 추경 편성과 세제 개편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번 청년 일자리 대책에는 수요자(청년) 실질적 지원, ‘제대로 된 일자리’ 창출, 민간 부문 일자리 창출이 핵심으로 꼽힌다. 보조금 지원, 세제 혜택 부여 등이 논의되고 있다.
이보다 앞서 14일에 통계청은 ‘2월 고용동향’을 내놓는다. 취업자 수 증가폭 개선흐름이 이어질지가 관건이다. 최저임금 상승 ‘후폭풍’으로 숙박·음식점 취업자 수가 줄었는지도 관심을 끈다.
같은 날에 한국은행과 금융위원회는 2월 가계대출 동향을 공개한다. 가계대출 증가세는 둔화 흐름을 보이고 있다. 대신 기타대출이 늘어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1월에 금융권 가계대출은 5조원 늘었다. 증가 규모가 전월보다 1조1000억원 감소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1조4000억원 늘며 10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보였다.
이날 2월 수출입 물가지수도 나온다. 1월에는 국제유가 상승이 환율 하락 효과를 웃돌면서 수입물가가 전월 대비 0.7% 올라 석 달 만에 반등했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청문회를 앞두고 16일까지 국회에 답변 자료를 제출할 예정이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
[주간 브리핑] 15일 청년 일자리 대책 발표
입력 2018-03-11 1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