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뿐만 아니라 세제 개편 카드도 꺼내들었다.
김동연(사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청년 일자리 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라며 “특단의 대책을 위해 추경 편성과 세제 개편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 방안으로 세제 개편을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청년 일자리 정책의 핵심으로는 세 가지를 꼽았다. 수요자인 청년에 대한 실질적 지원과 ‘제대로 된 일자리’ 창출, 민간 부문의 일자리 창출이다. 김 부총리는 “지난해까지 최근 10년간 21번의 대책과 차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GM과 성동조선 등 구조조정에 따른 특정 지역 고용 악재와 관련해선 “대량 실업 위기에 처한 지역 일자리 지원 대책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최저임금 인상 여파로 지난달까지 2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2.8% 오른 외식 물가에 대해선 추가 인상은 없을 것으로 봤다.
세종=신준섭 기자sman321@kmib.co.kr
“청년 일자리 특단 대책 위해 추경 편성·세제 개편도 고려”
입력 2018-03-09 18:21 수정 2018-03-09 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