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 왜 ‘4월 말’인가… 文대통령 ‘공약’이었다

입력 2018-03-08 05:04

남북이 3차 정상회담 시기를 4월 말로 합의한 것은 취임 1년 내에 회담을 성사시키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이 중요한 이유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7일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의 오찬 회동에서 “취임 후 1년 안에 남북 정상회담을 하면 좋겠다는 것이 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며 “이에 따라 회담을 조기에 하는 것으로 정해졌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도 ‘6·13 지방선거에 영향을 미치려고 회담 시기를 정한 것 아니냐’는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의 질문에는 “지방선거와 조금 간격이 있다. (정상회담을) 빨리 해야 간격이 있는 것”이라면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과) 임기 초에 만나고 싶었기 때문에 상황이 이렇게 됐다”고 말했다. 정 실장도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 특사로 내려왔을 때 문 대통령에게 평양 방문을 초청한 바 있다. 북한이 조기에 남북 정상회담을 열자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남북 정상회담 4월 말 개최 합의는 북·미 간 비핵화 논의가 그 이전에 어느 정도 성과를 낼 것으로 예상한 데 따른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남북 정상회담 추진이 한·미동맹 이완 논란으로 번지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북한이 4월 말 회담 개최에 동의한 배경에도 관심이 쏠린다. 4월 15일은 북한의 최대 명절인 태양절(김일성 주석 생일)이다. 북한 내에서 기념행사가 열리는 시기여서 정상회담을 열기에는 부적합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1948년 4월 말 김구 선생과 김 주석 등이 참석했던 남북연석회의가 70주년을 맞는다는 점을 고려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삽화=전진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