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균형발전 밑그림 완성… 생활밀착형 도시 진입

입력 2018-03-08 05:00

상암 ‘디지털’·신촌 ‘청년창업’ 등 5개 권역 구분 균형발전 유도
116개 지역별로 특화 개발도… 상업지구 192만㎡ 새로 지정

서울시가 시민과 함께 만든 균형발전 청사진 ‘2030 서울생활권계획’이 공개됐다. 생활권 단위로 지역 발전 계획을 담아 지역간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시는 7일 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갖고 서울생활권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4년여간 도시계획 전문가와 연인원 8000여명의 주민이 참여해 내놓은 결과물이다. 기존 도시기본계획은 필지 단위로 적용되는 용도지역 관점에서 세워지기 때문에 추상적인 방향만을 담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 중간단위 도시계획은 지역 생활권 단위로 나눠 특성에 맞게 수립된 것이 특징이다. 계획 수립에 참여한 남진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이번 도시계획은 선진국 수준의 생활밀착형 도시계획 단계에 진입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도시계획 뿐 아니라 국토계획이 지역 특성에 맞는 독창적인 계획으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서울시는 전역을 도심권, 동북권, 서북권, 서남권, 동남권으로 나눴다. 여기에 각 권역별로 3∼5개 행정동 단위를 묶은 116개 지역 생활권으로 세분화했다.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발전방안은 도시공간, 산업·일자리, 주거정비, 교통, 환경·인전, 역사·문화·관광, 복지·교육 7개 분야에 맞춰 세부 계획으로 제시됐다.

도시공간 카테고리의 경우 지역 기능과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서북권의 경우 상암·수색지역 ‘디지털미디어 거점 육성’, 서남권 ‘영등포·여의도 도심 경제거점 위상 강화’ 등의 전략이 세워졌다. 산업일자리 분야에서는 서북권 ‘신촌 일대 청년창업 활성화’, 동북권 ‘장안평 자동차시장 현대화 등 신성장 산업 육성’ 세부 전략이 담겼다. 주거·정비 분야는 도시권 ‘창신권역 도시재생 거주환경 개선’, 동남권 ‘거여1지구 지구단위 재정비’가 포함됐다.

환경안전 분야에는 동북권의 경우 아차산과 용마산, 망우산을 연결하는 서울 둘레길 정비 계획이 제시됐다. 관광 활성화를 위해 도심권의 경우 한양역시도심을 활용해 도보관광을 활성화하는 방안이 담겼다. 서울시는 2030년까지 중심지 내 상업지역 192만㎡를 새롭게 지정해 지역불균형 해소에도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배분 물량의 70% 이상을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외됐던 동북권(59만㎡)과 서남권(40만㎡)에 배분했다. 자치구가 이 범위 내에서 개발계획과 연계한 세부계획을 수립해 서울시에 요청하면 지정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제3종일반주거지역 이상인 지역을 원칙으로 상업지역 지정을 검토할 수 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그래픽=전진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