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공공주택 14만8천가구 공급… 그래도 턱없이 부족

입력 2018-03-07 05:05

정부의 주거복지 로드맵에 따라 올해 공공주택 14만8000가구가 공급된다. 전체 공급량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공급되지만 서울과 경기도 인구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공공임대주택 13만 가구와 공공분양주택 1만8000가구를 공급하기 위한 권역·사업자별 세부계획을 수립했다고 6일 밝혔다. 지난해 11월 발표한 주거복지 로드맵에서 발표한 5년간 100만 가구 공적주택 공급계획에 따른 것이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공급되는 공공주택은 8만2000가구로 공공주택 공급량의 절반 이상이다. 건설사가 직접 임대주택을 지어 공급하는 건설형 공공임대주택이 3만9000가구, 매입·임차형 임대주택이 3만5000가구다. 기존 택지를 활용한 공공분양주택은 8000가구다.

하지만 서울은 인구수에 비교해 공급량이 턱없이 부족하다. 인구 985만여명인 서울은 건설형 공공임대주택 6000가구, 매입·임차형 공공임대주택 1만7000가구, 공공분양주택 2000가구로 총 2만5000가구에 불과하다. 반면 인구 약 520만명인 경상도는 각각 1만8000가구, 1만2000가구, 2000가구로 서울보다 많은 3만2000가구를 공급한다.

가장 인구수가 많은 경기도(1290만8010명)의 경우 매입·임차형은 서울과 비슷한 1만3000가구이지만 건설형 공공임대주택은 2만9000가구나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별 공급계획 조사와 조정 등 협업을 기반으로 세부계획을 수립한 것”이라며 “서울의 경우 택지 부족으로 당장 공급을 늘리기 어렵지만 유휴시설 활용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