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향 선정 ‘올해의 음악가’에… 역사학자 길 걷다 세계적 테너로
오늘 첫 공연 시작 올해 7번 무대… “한국인 깊은 클래식 사랑에 깜짝”
영국 출신 테너 이안 보스트리지(54)는 ‘노래하는 인문학자’로 통한다. 학자의 길을 걷다가 정상의 성악가로 거듭났기 때문이다. 그가 서울시립교향악단이 올해 첫 도입한 ‘올해의 음악가’에 뽑혀 한국을 찾았다. 올해의 음악가는 매년 특정 아티스트를 선정해 관객에게 그의 음악 세계를 집중 조명하는 제도다. 보스트리지는 6일 공연을 시작으로 올해 총 7번 한국 관객을 만난다.
보스트리지는 5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소감을 밝혔다. “가수로서 사랑하는 나라에서 노래 부르는 건 멋진 일입니다. 정기적으로 관객을 만날 기회가 있는데 마다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는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열린 한 콘퍼런스에서 진은숙 서울시향 전 상임작곡가의 제안을 받고 수락했다고 전했다.
한국은 그에게 낯설지만은 않은 나라다. 이미 15년 전쯤 한국을 처음 방문했다. 2016년에는 리사이틀 공연도 가졌다. 당시 한국어 번역본으로 출간된 그의 책 ‘슈베르트의 겨울 나그네’는 세계 10개가 넘는 언어로 출판된 베스트셀러다.
그는 한국 클래식 관객들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클래식 음악에 조예가 깊어서 놀랐습니다. 유럽 관객은 보통 연령대가 높은데 한국은 연령대가 다양해서 신기했습니다.” 클래식 음악이 록 대중음악 등 다른 장르와 폭넓게 교류하면서 넓게 퍼진 것도 흥미롭다고 전했다.
보스트리지는 영국 옥스퍼드 대학과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철학과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옥스퍼드에서 역사를 가르치던 중 성악가의 길을 결심했다. 1993년 성악가로 데뷔한 후 96년 첫 음반인 슈베르트 연가곡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로 그라모폰 솔로 보컬상을 받았다. 98년 발표한 슈만의 연가곡 ‘시인의 사랑’ 음반은 그라모폰 베스트 솔로 보컬상을 수상하는 등 주요 음반상을 휩쓸었다. 그동안 그래미상 후보에 무려 15차례 올랐다.
역사학자에서 음악가로 변신하는 길은 길었지만 방향은 분명했다. “노래할 때도 집중하고 분석해야 하는 일이 있어 학자로서의 경험이 큰 도움이 됩니다.” 음악가로서의 활동에도 애정을 드러냈다. “짧은 순간에 살아있는 음악을 구현해내는 것에 만족이 큽니다. 보다 풍성한 시각을 지니게 됐죠.”
보스트리지는 앞서 영국 미국 독일 등 해외 유수의 공연장에서 서울시향의 올해의 음악가 같은 제도를 맛봤다. “이 제도의 가장 중요한 건 다른 음악가들과 우정을 쌓는 일이지요. 돈독한 관계에서 뿜어져 나오는 힘이 음악에 생명을 불어넣는다고 믿습니다.”
권준협 기자 gaon@kmib.co.kr
‘노래하는 인문학자’ 보스트리지 “사랑하는 나라서 노래, 멋진 일”
입력 2018-03-06 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