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장관급 인사 2명을 포함한 최고위급 대북 특별사절단을 5일 파견한다. 북핵 문제 등 한반도 정세를 근본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이다. 특사단은 국가안보 책임자인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수석을 맡고 정보 당국 수장인 서훈 국가정보원장, 국내 상황관리를 전담하는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등으로 구성됐다. 남북 및 북·미 대화 전반을 조율하기 위해 ‘미니 청와대’가 방북하는 셈이어서 성과에 관심이 집중된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4일 브리핑에서 “정 실장을 수석특별사절로 하는 특사단이 5일 서해 직항로를 이용해 특별기편으로 평양을 1박2일간 방문한다”며 “북측 고위급 관계자들과 한반도 평화 정착과 남북 관계 발전을 위한 대화에 나설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별기는 주로 국내용으로 사용되는 문 대통령의 전용기 ‘공군 2호기’다.
특사단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직접 면담하고 문 대통령의 친서도 전달할 예정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김 위원장과의 면담이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문 대통령이 김여정 대남 특사를 접견한 만큼 상응하는 결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특사단은 정 실장, 서 원장, 윤 실장과 천해성 통일부 차관, 김상균 국정원 2차장 및 실무진 5명을 포함해 10명으로 구성됐다. 정 실장은 문재인정부의 대미 관계를 주도하는 핵심 참모다. 서 원장은 북한에 정통한 정보 수장이다. 정 실장은 방북 기간 미국 입장 등 한반도 정세를 설명하고 서 원장은 남북 관계 등을 주로 관장하면서 북한이 미국과의 대화에 나서도록 설득할 예정이다. 대북·대미 관계를 책임지는 장관급 인사의 동반 파견은 북한 입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겠다는 뜻도 내포돼 있다.
문 대통령의 ‘복심’인 윤 실장 파견도 주목된다. 그는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을 대신해 문 대통령의 의중을 북한에 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현안을 다루는 국정상황실장인 만큼 남북 논의 진행 과정에서 여론의 ‘안테나’ 역할도 겸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사단의 최우선 과제는 실낱같은 북·미 대화 가능성을 키워나가는 것이다. 특사단은 한반도 평화 구축을 위해 북·미 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할 계획이다. 윤 수석은 “특사단은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북·미 대화 여건 조성, 남북 교류 활성화 등 남북 관계 개선 문제 등을 포괄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라며 “6일 오후 귀환한 뒤 미국을 방문해 방북 결과를 설명하고 중국, 일본과도 긴밀히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정의용·서훈·윤건영 촘촘한 ‘3인 임무’… 대화조율·北 의중 파악
입력 2018-03-05 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