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신대, 새학기 개강 연기… 초유의 사태

입력 2018-03-05 00:01 수정 2018-03-05 00:09
4일 서울 동작구 총신대 종합관 입구에 책상과 의자가 어지럽게 쌓여 있다. 건너편에 학교정상화를 위해 농성 중인 학생들이 보인다.

전국 대다수의 대학이 2일 새 학기를 시작했지만 서울 동작구 총신대(총장 김영우)는 학내 갈등이 극단으로 치달으며 개강을 기약하지 못하고 있다. 4일 총신대 종합관 앞에서는 경비팀이 일일이 신원확인을 하고 있었다. 지난달 24일 농성 현장에 외부 용역업체 직원들이 진입했다가 출동한 경찰에 의해 연행된 이후 나타난 풍경이다.

총학생회장 김현우(신학부 4학년)씨는 “용역 동원 사태 후 총학생회와 비대위를 중심으로 50여명이 상주하면서 군대 경계근무 서듯 건물 내·외부, 옥상 등에서 감시태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이라고 생각하며 지혜를 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용역 동원’이란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면서 총신대 내부 구성원들의 목소리도 더 커지고 있다. 총신대 직원 대부분이 가입돼 있는 교직원노동조합은 2일 성명을 내고 총장의 결단을 호소했다. 노조는 성명에서 “용역 동원행위는 기독교대학의 교직원, 조합원이기 이전에 신앙인으로서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일”이라며 “총장은 학교 정상화를 위해 책임 있는 결단을 내리라”고 요구했다. 같은 날 총신대 교수 120여명 중 61명도 공동성명을 내고 “학사행정 정상화를 위해 총장과 재단이사회가 총신대 정관을 원상복구하고 자발적으로 퇴진하라”고 촉구했다.

2일로 예정됐던 개강을 위해선 지난달 26일부터 수강신청이 이뤄졌어야 하지만 전산실 서버 접속이 차단된 이후 학교 홈페이지가 먹통이 되면서 학사행정은 여전히 마비상태다.

김씨는 “지난 1일 교무지원처가 학생들에게 수강신청 안내 문자를 보내며 임시 홈페이지를 열었는데 접속해 보니 복학생들은 수강신청을 할 수도 없고 강의 당 신청인원에 제한이 없는 등 문제가 속출해 학생들이 더 혼란에 빠졌다”고 토로했다. 이어 “혼란을 막기 위해 수강신청 거부에 나섰지만 학교 측은 학생과 학부모에게 다시 문자를 보내 ‘규정 상 수강신청을 하지 않으면 제적된다’고 안내하는 등 이해할 수 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글·사진=최기영 기자 ky710@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