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보복정책 수일 내 발표” 캐나다 “高관세 수용 못해 우리 노동자 지킬 것” 선언
中 “일방주의 행보 중단” 협상으로 해결할 것 촉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너 죽고 나 살자’식 관세 정책에 각국이 반발하면서 무역전쟁의 전운이 감돌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1일(현지시간) 트럼프의 정책에 대해 “미국이 구축한 국제 무역 질서가 훼손될 것”이라고 우려하면서 “관세 부과 조치 영향을 받는 국가들은 미국과 똑같이 국가 안보 등 유사 보호무역 조치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데 1930년(대공황) 사례처럼 세계 무역 전쟁에서 승자는 아무도 없다”고 지적했다. 워싱턴포스트 역시 “무역확장법 제232조를 적용함으로써 모든 나라가 도미노처럼 자국 산업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중국이 강하게 비판하는 것은 물론 미국의 동맹인 유럽과 캐나다까지 “가만히 있지 않겠다”며 보복 대응을 예고했다. 중국 상무부는 2일 성명에서 “중대한 우려를 표명한다”며 관련 분쟁을 협상으로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다만 당장 보복 대응은 거론하지 않고 “무역 문제를 정치화하는 것을 막고 일방주의 행보를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중국이 관세 보복에 나설 경우 가장 먼저 농업 분야에 공격을 집중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미국 농업계는 지난달 초 미·중 간 무역전쟁이 벌어지면 자국 농산물이 가장 큰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우려한 바 있다. 나아가 중국은 미국 농산물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를 시작으로 미국 국채를 팔아 가격 하락을 유도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트럼프가 추진하려는 관세 조치는 그동안 문제를 삼아온 중국뿐 아니라 동맹국들까지 겨냥했다는 점에서 논쟁적이다. 트럼프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예외 없이 고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생각이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장-클로드 융커 위원장은 “EU는 수십년간 미국의 긴밀한 안보 동맹국이었다”면서 “현재 상황은 해법을 제공하는 대신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우리 산업이 불공정한 정책으로 피해를 입는 상황에서 멍하니 앉아 있지만은 않을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조치에 뒤따르는 EU의 보복 정책이 수일 내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에 대한 알루미늄 최대 수출 국가인 캐나다 역시 우려와 대응 의지를 표명했다. 크리스티아 프릴랜드 외무장관은 “캐나다와의 모든 무역을 미국의 국가 안보 위협으로 보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캐나다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제약이 가해지면 캐나다는 무역 이익과 근로자를 방어하기 위해 대응책을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미국과 캐나다는 멕시코와 함께 멕시코시티에서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협상을 위한 7차 회담을 진행 중이다.
트럼프가 무역 협상을 원하는 일본도 우려를 드러냈다. 일본 세코 히로시게(世耕弘成) 경제산업상은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일본산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은 미국 국가 안보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며 어떤 국가가 대상인지 미국 정부에 확인해 보겠다고 말했다. 일본이 미국의 착실한 동맹국인 만큼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해 달라고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호주 ABC방송은 “호주 최대 철강 제조업체 블루스코프는 미국 철강 산업에 약 30억 달러를 투자했고 약 3000명의 미국 시민을 고용하고 있다”며 호주보다도 미국에 치명적인 ‘제 발등 찍기’식 정책이 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
트럼프, 관세폭탄 터뜨리자… 美 우방까지 “보복” 경고
입력 2018-03-03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