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의제를 안보에 국한하고 원내교섭단체 대표만 참석”

입력 2018-03-02 18:16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7일로 예정된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동과 관련한 역제안을 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홍 대표가 제시한 세 가지 조건 중 ‘원내교섭단체 대표만 초청’ 요구는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입장을 밝혔다. 소속 국회의원이 20명 미만이라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하지 못한 민주평화당과 정의당 대표를 초청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은 어렵다는 뜻이다. 한국당 핵심 관계자는 “홍 대표가 주말 동안 고심해 참석 여부를 결정할 것 같다”고 말했다.

홍 대표는 2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확대당직자회의에서 “지금까지 한국당은 대통령이 여야 대표들을 불러놓고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형식의 회동은 정치적 쇼에 불과하므로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는데, 안보의 위중함을 알고 있기 때문에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되면 갈 수 있다고 (청와대에) 통보했다”고 말했다.

홍 대표가 제시한 세 가지 조건은 ‘회동 의제를 안보 문제에 국한할 것’, ‘실질적인 논의를 보장할 것’, ‘원내교섭단체 대표만 초청할 것’이다.

홍 대표가 내건 조건대로 회동이 이뤄질 경우 더불어민주당, 한국당, 바른미래당 대표만 초청 대상이 된다. 홍 대표는 “과거 대선 때도 후보가 난립되면 메이저리그 토론은 메이저리그끼리 하고, 마이너리그 토론은 마이너리그끼리 별도로 한 선례가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홍 대표의 제안에 환영의 뜻을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홍 대표가 여야 대표 회동에 참석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만큼 홍 대표가 제시한 조건들을 적극적으로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참석 대상을 교섭단체 대표로만 제한하자는 제안에 대해선 곤란하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 관계자는 “그동안 문 대통령과 여야 대표 회동에는 정의당도 참석해 왔다”며 “관례를 무시하기 어렵다. 한국당과 지속적으로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다시 공은 홍 대표에게 넘겨졌다. 홍 대표는 지난해 두 차례 열린 여야 대표 회동에 모두 불참했다. 홍 대표 측근 인사는 “홍 대표의 참석 여부는 결정되지 않았다”면서도 “청와대가 제1야당 대표가 제시한 조건을 모두 수용하지 않은 것은 아쉬운 부분”이라고 말했다.

하윤해 강준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