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절에 ‘주류론’ 꺼내든 文대통령… 건국절 논란에 쐐기

입력 2018-03-01 19:15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전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서 열린 제 99주년 3.1절 기념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1일 3·1절 기념사를 통해 다시 한 번 대한민국의 ‘주류’를 바꾸겠다고 선언했다. ‘건국절 논란’에도 쐐기를 박았다. 친일·독재·재벌 기득권 세력으로 이어지는 주류의 흐름을 끊고 독립운동가 등 국가를 위해 헌신한 이들이 국가의 새로운 주류가 돼야 한다는 게 문 대통령의 인식이다.

문 대통령의 ‘주류론’은 뿌리가 깊다. 문 대통령은 2016년 6월 히말라야를 트레킹하다 동행했던 탁현민 당시 성공회대 교수로부터 ‘왜 정치를 하느냐’는 질문을 받았다. 질문을 듣고서도 30분간 묵묵히 걷기만 하던 문 대통령이 내놓은 답은 “주류를 바꾸고 싶어서”였다. 광복 이후 우리 사회의 주류를 차지했던 친일 세력이 독재 세력으로 탈바꿈해 민주화 세력을 억압했고, 이들이 다시 재벌 기득권 세력으로 변화했다는 설명도 이어졌다고 한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4월 대선 후보 수락연설에서도 “서로의 아픔에 공감하는 사람들, 상식과 정의 앞에 손을 내미는 사람들, 이런 국민들이 주류가 돼야 한다”고 밝힌 적이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사회를 주도하는 세력이 바뀌지 않으면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다는 게 문 대통령의 생각”이라고 전했다.

건국절 논란을 명확하게 정리하려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임시정부가 수립된 1919년과 이승만정부가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선포한 1948년 중 어느 해가 건국 시점인지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학계 다수와 임시정부의 법통을 강조하는 쪽은 1919년을, 보수진영 일각에서는 실질적인 정부가 수립된 1948년을 건국된 해로 봐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문 대통령은 취임 이후 일관되게 1919년을 건국된 해라는 입장을 밝혀왔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8·15 광복절 경축사에서도 “2년 후 2019년은 대한민국 건국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는 해”라고 말한 뒤 임시정부를 세운 백범 김구 선생 묘역에 참배했다. 지난 1월 국립서울현충원 참배 때는 방명록에 “국민이 주인인 나라, 건국 백년을 준비하겠습니다”라고 적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