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원보호구역 갈등’ 상생으로 푼다

입력 2018-03-01 21:24
상수원보호구역을 놓고 39년째 갈등 중인 경기도 용인·평택·안성시가 공동으로 ‘상생협력 추진단’을 구성키로 했다. 경기도는 용인·평택·안성시가 경기연구원이 진행한 ‘진위·안성천, 평택호 수계 수질개선과 상·하류 상생협력 방안 연구용역 결과’ 이행을 위한 상생협력 추진단 구성에 합의했다고 1일 밝혔다.

상생협력 추진단은 경기도 수자원본부 상하수과장이 단장을 맡기로 했으며, 용인·평택·안성시는 정책협력관(사무관)을 각각 1명씩 파견한다. 여기에다 환경전문가를 포함해 총 8명으로 추진단이 구성된다.

도는 이달 중 추진단 구성을 마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갈 계획이다. 추진단은 진위·안성천 및 평택호 수질개선 종합대책 수립·추진, 유역 민·관 거버넌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협의회 운영, 상류지역의 합리적인 규제개선 등의 업무를 맡아 3개 지역의 다양한 의견에 대한 중재 역할을 하게 된다.

김문환 경기도 수자원본부장은 “1979년 평택 송탄·유천 취수장이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지속된 3개 시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첫걸음”이라며 “용인·평택·안성시가 모두 만족하는 상생협력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더 많이 소통하고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평택시 진위면 송탄취수장 주변 송탄상수원보호구역(3859㎢)에는 용인시 남사면 1572㎢가, 평택시 유천동 유천취수장 주변 평택상수원보호구역(0.982㎢)에는 안성시 공도읍 0.956㎢가 각각 포함돼 이들 지역에선 개발 사업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다. 수도법에 따라 공장 등의 설립이 가능하다 해도 평택시의 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용인·안성시와 평택시의 갈등은 그동안 지속적으로 증폭돼 왔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