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시대학유치추진위원회 “서남대 폐교 막지 못한 만큼
정부, 지역균형발전 차원서 남원에 의료 정원 존치해야”
서남대가 지난 28일 폐교됨에 따라 남원캠퍼스를 활용해 공공의료대학을 설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서남대 의대 정원(49명)을 전북지역에 남겨야 한다는 지역 여론이 제기되면서 공공의료대학 설립 가능성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이다.
남원지역 시민사회종교단체와 정치권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남원시대학유치추진위원회는 1일 “낙후된 지리산권 의료서비스를 위해 남원에 공공의료대학을 반드시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위원회는 이어 “서남대는 약 1만3000명의 지역인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 성장해왔으나 설립자 한 사람의 비리로 인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며 “정부가 대학 폐교를 막지 못했다면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공공의료대학이 남원에 세워질 수 있도록 협조를 해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를 위해 서남대 의대 정원과 보건계열 학과 정원이 반드시 남원에 존치해야 한다”는 얘기도 덧붙였다.
국회 이용호(무소속·남원임실순창) 의원은 최근 국회에서 정세균 국회의장, 김상곤 교육부장관, 유성엽 국회 교육문화위원장 등과 관련 대책을 논의하는 등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 의원은 이날 전화 인터뷰에서 “지방자치단체가 공공의료기관을 설립할 수 있는 근거 법안을 발의할 계획”이라며 “의대 정원을 전북에 남기겠다는 것은 교육부가 여러 번 확인해 줬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와 서울시는 공공의료대학 설립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복지부는 공공의료 강화를 위해 국립보건의료대를 추진하고 있고, 서울시는 다른 자치단체와 함께 서울시립대와 연계한 공공의과대학을 세우는 방안을 서두르고 있다.
개교 27년 만에 문을 닫은 서남대는 폐교와 동시에 청산 절차에 들어갔다. 청산이 마무리될 때까지는 3년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사립학교법 개정안의 국회 통과가 불투명해지면서 800억원에 이르는 서남대 재단 재산은 교비 횡령 혐의 등으로 복역중인 설립자 이홍하씨의 가족이 운영하는 법인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다.
남원=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서남대 남원 캠퍼스에 공공의료대학 설립을”
입력 2018-03-02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