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들이 지난해 11조원이 넘는 순이익을 올렸다. 7년 만에 최대 규모다. 예대금리 차이 확대에 따른 이자수익 증가 등이 영향을 미쳤다. 은행들의 성과급 지급액은 약 2배 늘었다.
금융당국은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합리적으로 매기는지 들여다볼 방침이다. ‘실적 잔치’에만 머무르지 않도록 감독할 계획이다.
금융감독원은 국내 19개 은행의 지난해 경영현황을 1일 발표했다. 은행들의 순이익은 11조2000억원으로 2016년 2조5000억원보다 4.5배 증가했다. 2011년(14조4000억원) 이후 최대 규모다.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빠르게 오르면서 이자이익이 늘었다. 이자이익은 37조3000억원으로 전년보다 2조9000억원 상승했다. 예대금리 차이는 2016년 1.95%에서 지난해 2.03%로 커졌다. 금감원 오승원 부원장보는 “금리 상승기에 예대금리 차이가 벌어지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면서도 “소비자보호 측면에서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합리적으로 산정하는지는 계속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6년에 진행했던 조선·해운 구조조정으로 크게 늘었던 은행권의 대손비용(손실 처리한 비용)이 줄어든 것도 수익 개선의 주요 원인이다. 지난해 대손비용은 전년보다 5조5000억원 감소했다.
실적 개선은 성과급 지급으로 이어졌다. 금감원은 구체적 수치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은행권의 지난해 성과급 지급액은 전년보다 약 2배 늘었다. 금감원은 은행들의 실적 개선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본격적인 금리 인상기에 진입하면서 예대금리 차이가 더 벌어질 수도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들이 수익을 남기는데 머무르지 않도록 하는 게 감독 방향”이라고 말했다. 기업대출 등 생산적 부분에 자금을 적극 공급하도록 지도할 계획이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이자 장사’로 은행마다 ‘성과급 잔치’… 작년 순익 11조 돌파
입력 2018-03-02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