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저감조치에 따른 ‘대중교통 무료’ 정책을 놓고 설전을 벌였던 서울시와 경기도가 도시철도 객실 내 공기질을 놓고 날선 공방에 나섰다. 남경필(사진) 경기도지사는 28일 도시철도 1호선과 4호선 객차의 미세먼지가 심각하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의 관련 부처 장관회의 주재도 요구했다. 전날 서울시가 미세먼지 저감조치와 관련 ‘대중교통 무료’ 정책의 중단을 발표하자 목소리를 한껏 높이며 서울시와의 2라운드에 나선 모양새다.
남 지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객실 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결과 1호선과 4호선 미세먼지 농도가 환경부 권고기준을 초과했다”고 밝혔다.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이 이날 발표한 도시철도 객실 내 공기질 검사결과에 따르면 1호선의 경우 미세먼지 농도가 228.8㎍/㎥, 4호선은 308.7㎍/㎥로 권고기준(200㎍/㎥)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2일과 20일 각각 1호선과 4호선의 객실 내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했다. 지난 22일 실시한 신분당선의 미세먼지 농도는 86.7㎍/㎥로 권고기준 이하로 측정됐다.
남 지사는 “환경부의 도시철도 실내 공기질 권고 기준은 200㎍/㎥인데 실외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기준은 150㎍/㎥”라며 “이런 기준이 합리적인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각자도생의 길을 걸으면 불필요한 논란과 함께 혈세를 낭비하게 된다”며 “대통령이 수도권 3개 단체장과 환경부·국토교통부·외교부 등 관련 부처 장관회의를 직접 주재해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서울시는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의 측정 결과에 대해 “잘못된 측정방식으로 시민 불안을 조장했다”고 비판했다. 신분당선 공기질은 외부 공기질이 ‘보통’(평균 46.7㎍/㎥)인 날에 측정한 반면 4호선은 ‘매우 나쁨’(평균 93.5㎍/㎥) 수준인 날에 측정해 단순 비교했다는 것이다. 신분당선과 4호선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방법도 달랐다고 반박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4호선 전동차 내 공기질 측정 결과는 기준 적합(평균 73㎍/㎥)이었다”고 밝혔다.
수원=강희청 기자, 김유나 기자 kanghc@kmib.co.kr
남경필 “지하철 1·4호선 객실공기 기준 초과”… 서울시-경기도 ‘미세먼지 싸움’ 2라운드
입력 2018-02-28 18:55 수정 2018-02-28 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