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매관매직 의혹까지 받는 MB

입력 2018-02-28 17:33
검찰이 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이명박 전 대통령 측에 인사청탁 대가로 20억원 이상을 건넨 정황을 포착해 수사 중이라고 한다. 검찰은 최근 이 전 회장의 자택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이 전 회장이 2007∼2008년 이 전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전 의원과 사위인 이상주 삼성전자 전무에게 각각 8억원과 14억5000만원을 줬다는 내용이 담긴 메모와 비망록을 발견했다. 사실이라면 초유의 대통령의 매관매직 사례여서 충격이 아닐 수 없다.

MB정부 때 이 전 회장은 김승유 전 하나금융지주 회장, 어윤대 전 KB금융지주 회장, 강만수 전 산업은행 회장과 함께 ‘금융권 4대 천왕’으로 불렸다. 측근들을 낙하산으로 내려보낸 것도 뒷말이 무성했는데 어쩌다 금융사 회장 자리가 돈 받고 파는 자리가 됐는지 참담하다. 우리나라 금융산업이 낙후된 이유가 따로 있지 않다.

검찰은 이 전 대통령 측이 2010년 중견 기업인 대보그룹으로부터 관급 공사 수주 대가로 수억원대 불법 자금을 받은 혐의도 수사 중이다. 이 전 대통령은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 의혹과 삼성의 다스 소송비 대납 의혹도 받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이 다스 실소유주라는 의혹도 실체에 접근하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17일 검찰 수사에 대해 “보수 궤멸을 겨냥한 정치공작이자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에 대한 정치보복”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하지만 양파껍질처럼 하나하나 드러나는 비위 의혹을 보며 국민들은 절망감을 느끼고 있다. 전직 대통령이 수감돼 있는 상황에서 또 한 명의 전직 대통령이 검찰 수사를 받게 된다면 국가적 망신이자 불행한 역사가 아닐 수 없다. 그렇다고 지금까지 드러난 의혹들을 덮을 수는 없다. 이 전 대통령은 재임기간 제기된 의혹에 대해 국민들에게 솔직하게 밝힐 의무가 있다. 검찰은 정치적 논란이 일지 않도록 명백한 증거를 갖고 수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