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철 2박3일… 외교안보라인 총출동, 북미대화 설득에 올인

입력 2018-02-28 05:05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27일 오전 숙소인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을 나서고 있다. 김영철은 2박3일의 방남 기간 공개석상에서 한 마디도 하지 않았다. 뉴시스

靑·외교부, 국정원·통일부 역할 분담해 北 대표단 설득
“서로의 상황 전달하고 북·미 대화 등 탐색적 대화”
김영철, 공식 방남 기간 중 공식적 발언 한 마디도 안해


청와대와 정부는 2박3일 동안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 등 북한 고위급 대표단 설득에 ‘올인’했다. 외교안보라인이 총동원돼 북·미 대화 필요성과 북한의 태도 변화를 설득했다.

정부는 청와대·외교부와 국가정보원·통일부의 역할을 분담해 북한 대표단을 설득했다. 청와대·외교부는 북핵 문제를 바라보는 미국 등 국제 정세를 설명했고, 국정원·통일부는 북핵 문제를 진전시키기 위한 남북 관계 개선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대표단장인 김영철이 대미·대남 정책의 총책임자임을 감안한 조치였다.

김영철은 자신의 권한이라고 판단한 안건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했지만 권한 밖 문제에 대해선 ‘경청 자세’를 취했다고 한다. 김영철이 비핵화 문제에 대해서는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7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주변국 정세를 브리핑했고, 국정원과 통일부는 남북 간 교류·협력 방안을 논의했다”며 “서로의 상황을 전달하고 북·미 대화와 비핵화 문제에 대한 탐색적 대화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돌아간 김영철이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에게 방남 결과를 상세히 보고하고, 북한이 이후 비핵화 대화와 관련한 진전된 입장을 표명하는 것이 청와대가 그리는 최고의 시나리오다. 청와대는 이러한 진전 상황을 종합한 다음 북한 대표단과의 논의 결과를 미국에 설명할 계획이다. 이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직접 북·미 대화의 입구를 찾는 방법을 북한 대표단에게 설명했다”며 “북한도 논의 내용을 정리하고, 비핵화를 전제로 한 북·미 대화에 나설지 판단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통화가 이뤄질 경우 문 대통령은 북·미 대화를 직접 설득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의용 실장과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 간 핫라인과 외교부·국방부 채널도 총동원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미국과 북한이 대화의 조건을 서로 조금씩 양보한다면 대화가 더욱 순조롭게 진행될 것”이라며 “조건을 100% 만족시키려 한다면 대화 자체도 어려워진다”고 설명했다.

북한 고위급 대표단 8명은 이날 오전 11시55분쯤 경기도 파주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CIQ)를 떠나 경의선 육로를 타고 군사분계선(MDL)을 넘었다. 취재진이 CIQ에서 방남 성과와 북·미 대화 등에 대해 질문했지만 일절 답하지 않았다. 김영철은 2박3일간의 공식 방남 기간 도중 한 마디도 공식적인 발언을 하지 않았고, 취재진의 질문에도 답하지 않았다. 북한 대표단 자격으로 방남했지만 정작 김영철의 발언을 들은 사람은 극소수 우리 측 정부 당국자뿐이었다. 방남한 북측 인사가 공개석상에서 단 한 마디도 하지 않고 돌아간 건 이례적이다. 김영철은 다만 CIQ를 나서기 전 우리 취재진을 향해 흡족한 얼굴을 하고 손을 흔들어 인사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 대표단) 표정이 나쁘지 않았고 분위기도 좋았다”고 전했다.

강준구 조성은 기자 도라산=공동취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