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MB 매관매직 의혹… 檢, 이팔성 세 번 불렀다

입력 2018-02-27 18:21 수정 2018-02-28 08:50

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이명박(MB) 전 대통령 측에 뭉칫돈을 전달한 정황을 검찰이 포착해 이 전 회장을 소환조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직접 조사가 임박한 가운데 MB정부 출범기 공공·금융기관장 자리를 둘러싼 매관매직(賣官賣職) 의혹 수사가 막바지 변수가 되고 있다.

27일 사정당국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송경호)는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인 25일까지 세 차례 이 전 회장을 불러 조사했다. 검찰은 이 전 회장이 2008년 이 전 대통령 취임을 전후로 이 전 대통령의 사위인 이상주 삼성전자 전무에게 20억원 안팎의 현금을 전달한 정황을 잡고 이를 집중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 전 회장을 마지막으로 조사한 다음날인 26일 이 전무의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하고, 그를 곧바로 소환해 자금 수수 경위 등을 추궁했다. 이 전 회장에 대한 물밑 조사를 바탕으로 올림픽 폐막과 동시에 이 전 대통령 일가에 대한 직접 조사를 본격화한 것이다.

검찰 관계자는 “금품을 전달한 사람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이 전무) 압수수색 등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이 전무는 새벽까지 진행된 검찰 조사에서 관련 혐의를 완강히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 전 회장이 금융기관장 취업 청탁을 대가로 금품을 전달했으며, 이 전무가 ‘통로’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국민일보는 이 전 회장 측에도 사실관계 확인을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이 전 회장은 고려대 출신으로 이 전 대통령이 서울시장일 때 서울시립교향악단 대표를 역임했고 대선캠프에서도 상근특보를 지냈다. 2008년 MB정부 출범 직후 금융감독원장, 한국거래소(당시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이사장 등 주요 금융공공기관장 유력 후보로 꼽혔지만 측근 인사 논란으로 임명 받진 못했다. 그해 6월 우리금융지주 회장에 취임해 2013년 4월 박근혜정부에서 사임할 때까지 MB정부 임기 동안 자리를 지켰다. 이 전 대통령은 정권 초 금융기관장에 관료출신이 많다는 문제를 지적하면서 민간 출신 금융기관장 필요성을 역설했다. 실제 공공·금융기관장이 대거 물갈이됐다.

조민영 황인호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