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트럼프 설득 수순… 靑 “북·미 대화 중재자 역할”

입력 2018-02-28 05:05

문재인 대통령이 북·미 대화 성사를 위해 미국 설득 수순에 돌입할 예정이다. 북한 고위급 대표단을 통해 파악한 북한 의중을 미국에 전달하고 북·미 양측의 요구를 조정하는 ‘중재자’ 역할이다. 문 대통령이 조만간 직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해 북·미 대화 필요성을 강조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7일 “우리 인사들은 북한 대표단을 만나 ‘이렇게 가면 분위기가 부드러워질 수 있지 않겠느냐’는 차원으로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과 정부 고위급 당국자들이 북한 대표단으로부터 들은 얘기들을 종합해 분석한 뒤 이를 미국에도 설명할 것”이라며 “북·미가 좀 더 부드럽게 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게 저희 임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를 ‘중매’로 표현했다. 그러면서 “‘중매쟁이’ 입장에서는 이쪽한테는 ‘너희가 이렇게 해야 성사된다’고 하고 저쪽한테는 ‘이러면 성사된다’고 얘기해야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이 중재 역할을 하면서 중점을 두게 될 부분은 북·미 양측에 일정 부분 양보가 필요하다는 점을 설득하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전날 류옌둥 중국 국무원 부총리를 만난 자리에서도 “미국은 대화의 문턱을 낮출 필요가 있고, 북한도 비핵화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결국 문 대통령으로선 북한과 미국 양측이 대화의 조건을 조금씩 양보할 부분이 있다면 이를 정부가 적극 나서서 중재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한 셈이다.

정부는 일단 우리 측 외교안보 관련 고위급 인사를 미국에 보내 북한 대표단과의 회동 결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또는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등이 거론된다. 다만 시기는 유동적이다.

핵심은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전화 통화다. 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대응 등을 분석하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상황 설명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통령이 3·1절 기념사를 통해 북한에 비핵화 초기 조치를 촉구하는 등 별도 제안을 할 가능성도 높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전후로 한 남북 관계 진전을 토대로 북한도 한반도 긴장 완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한편 문 대통령은 27일 오전 참모들과의 비공개 티타임도 취소한 채 하루 휴가를 내고 관저에서 휴식을 취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올림픽 개폐회식 및 경기 관람, 정상외교 일정, 북한 고위급 대표단 면담 등 2월 이후 문 대통령이 쉴 틈이 없었다”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