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사회적 책임(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트렌드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CSR은 지금까지 각 기업이 자발적으로 나서 하는 일로 인식됐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CSR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이를 의무화하는 국가가 늘고 있다.
27일 코트라의 ‘주요국 CSR 정책 트렌드와 기업의 대응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국 정부는 CSR과 관련한 정책을 꾸준히 도입하고 있다. 일부에선 CSR을 법으로 강제하는 수준의 정책도 나타난다. 유엔과 국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표준화기구(ISO) 등 단체도 CSR 관련 논의를 진전시키고 있다.
CSR의 글로벌 표준을 선도해온 유럽연합(EU)은 2014년 10월부터 500인 이상 기업에 대해 비재무보고서 발간을 의무화하고 있다. 유럽 기업 다수는 사회적 가치를 국내외 협력기업에도 요구한다.
미국도 최근 일부 비재무정보 공시를 의무화하고 국무부에 대응체제를 설치, 정부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그동안은 세금혜택이나 보조금 등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CSR을 확산시켜왔다. 일본 정부는 비재무정보 작성·공개 가이드라인 책정 및 모범사례 표창 등 간접적인 방식으로 CSR을 확산시키고 있다.
중국은 최근 CSR을 적극적으로 제도화하고 있다. 2015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정보 공개 의무를 확대하고 친환경 프로젝트를 위한 녹색채권을 발행했다. 알리바바를 비롯한 중국 기업은 녹색소비를 장려하는 CSR 투자를 강화하며 정부 기조에 호응하고 있다. 코트라는 “신흥국에서도 CSR를 제도화하려는 경향이 뚜렷해지므로 해외 진출 기회를 찾는 우리 기업은 CSR 실행력을 확보하는 게 필수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우리 기업 상당수는 이러한 CSR 실행력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삼성전자는 임직원 해외봉사단이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인도 중남미 등에서 봉사활동을 실시한다. 지난해까지 34개국에서 1300명이 봉사활동에 참여했다. 포스코는 철강재를 활용해 주택, 놀이터 등 마을 건축물을 짓는 ‘스틸빌리지’ 사업을 베트남에서 실시했다. 베트남 붕타우성 저소득층 가정에게 스틸하우스 104세대를 기부했다. 아모레퍼시픽은 여성 암 환자에게 뷰티 노하우를 전수하는 ‘메이크업 유어 라이프 캠페인’을 국내뿐 아니라 중국 베트남 싱가포르 홍콩 대만에서 실시했다. 지난해까지 6개국 1만4028명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다.
■CSR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은 기업들이 이해관계자들이나 소비자들의 윤리적 기준과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고, 사회 공동의 이익 창출에 유익한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사회공헌 활동이나 친환경 및 소비자 보호활동 등이 이에 해당한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그래픽=공희정 기자
기업의 사회적 책임, 선택 아닌 ‘의무’… 나라마다 ‘제도화’ 바람
입력 2018-02-28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