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청탁 불법 자금 수수 단서 포착하고 집중 추궁… MB 측에 전달 통로 의심
이상은 회장도 곧 소환, 내주 MB 출석 통보할 듯… 수사팀 내부 “구속 불가피”
평창 동계올림픽 폐막과 함께 이명박(MB) 전 대통령을 향한 검찰 수사가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은 25일 이 전 대통령의 외아들을 불러 조사한 데 이어 26일 맏사위 이상주(사진) 삼성전자 전무를 소환해 조사했다. 이 전무를 상대로 MB정부 시절의 매관매직(賣官賣職) 관련 의혹을 중점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대통령 측근들 수사에 이어 ‘MB 일가’ 조사를 통한 막판 다지기 작업으로 보인다. 이 전 대통령 직접 조사는 초읽기에 들어갔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송경호)는 이날 이 전무의 삼성전자 사무실과 서울 한남동 주거지 등을 전격 압수수색한 데 이어 이 전무를 불러 조사했다.
검찰 관계자는 “불법자금 수수 혐의를 수사하기 위해 소환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2008년 이 전 대통령 취임 전후로 금융기관장 등 공공기관 인사 청탁과 함께 거액의 뒷거래가 있었다는 단서를 잡고 이 전무를 상대로 자금 수수 경위와 목적 등을 조사했다. 검찰은 이 전무가 불법자금을 이 전 대통령 측에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했다고 의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안팎에서는 삼성전자의 다스 투자금 반환 미국 소송비용 대납 사건과 관련, 이 전무가 삼성과 이 전 대통령 간 다리 역할을 했을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돼 왔다. 이 전 대통령 장녀 주연씨의 남편인 이 전무는 사법연수원 25기로, 검사로 근무하다 2004년 삼성화재 법무팀에 입사했다. 2008년 삼성전자 해외업무담당 상무로 자리를 옮겼고 2011년 전무로 승진했다.
검찰은 그동안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 사건과 다스의 BBK 투자금 140억원 반환 과정에 청와대 등 정부 조직을 동원한 직권남용 고발 사건, 다스 실소유주 및 횡령 사건 등에서 이 전 대통령 관련성을 집중 수사해 왔다. 국정원 특활비 수수 혐의는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을 구속 기소하면서 이 전 대통령이 공범으로 적시됐을 정도로 상당 부분 진척됐다. 다스 투자금 반환 과정에 개입한 직권남용 혐의 역시 김 전 기획관 조사와 영포빌딩 압수수색 등에서 확보된 청와대 문건 등을 통해 확인됐다. 다스와 관련해서도 검찰은 이미 이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라는 결론을 내린 상태다. 때문에 삼성의 다스 투자금 반환 소송비 대납 의혹은 뇌물 혐의 적용을 피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다스의 수백억원대 비자금 조성 의혹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조세포탈 혐의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다스 협력사 등을 통해 아들 이시형씨 회사를 불법 지원한 정황 등은 배임이나 일감 몰아주기 등의 혐의가 적용될 수 있다.
검찰은 그동안 수사 결과를 바탕으로 전날 시형씨도 비공개로 불러 16시간에 걸쳐 다스의 소유관계와 운영 상태 전반을 조사했다. 이 전 대통령의 큰형 이상은 다스 회장도 소환해 이 전 대통령 차명재산 관련 의혹 전반에 대해 조사할 예정이다.
검찰은 2011년 서울 내곡동 사저 의혹 수사 당시 시형씨가 큰아버지 이 회장에게서 빌렸다고 했던 현금 6억원에 대해서도 이 전 대통령 차명재산일 가능성을 놓고 다시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이 이 전 대통령 가족 소환조사에 들어간 것은 이 전 대통령 본인을 부르기 위한 준비가 마무리됐음을 의미한다. 김 전 기획관을 비롯해 이병모 청계재단 사무국장, 이영배 금강 대표 등 이 전 대통령의 최측근 재산 관리인들은 앞서 구속된 상태다. 검찰은 이르면 다음 주 중 이 전 대통령에게 출석을 통보할 것으로 보인다. 전직 대통령을 여러 차례 불러 조사하기 어려운 만큼 관련 범죄 혐의를 한꺼번에 조사할 가능성이 높다. 수사팀 내부에서는 혐의의 중대성, 공범들과의 형평성 등을 고려할 때 구속 수사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檢, MB 맏사위 이상주씨 자택 등 압수수색 후 조사
입력 2018-02-27 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