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대표단의 면담 일정 공개를 고심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0일 청와대에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등 평창 동계올림픽 개회식에 참석한 북한 고위급 대표단과 공개 면담했다. 하지만 천안함 폭침 배후로 지목된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단장인 북한 대표단과의 면담은 사전에 공개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대표단은 일정이 사전에 전혀 조율되지 않았고, 정상급 대표단도 아니다”며 “정상급 공식방문 의전 절차를 따를 수 없어 면담 내용을 사후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김영철 방남에 대한 국민적 반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사전에 면담 사실을 공개할 경우 비판이 거세질 수 있고, 면담 장소에 시위대가 결집될 수도 있어서다. 면담 장소는 청와대가 아닌 제3의 장소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의제 조율에도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김여정의 경우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문 대통령과 만나 남북 간 현안을 논의했다. 하지만 김영철은 북한 정부를 공식 대변하는 위치가 아니고, 김여정 후속 방남 성격을 갖고 있다. 따라서 문 대통령과의 면담은 간단히 진행하고, 이후 관련 부처와 현안을 집중 논의할 가능성이 높다. 남북 군사실무회담과 이산가족 상봉 등 현안은 물론 비핵화 협상 문제도 논의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관계자는 “김영철은 공식적으로 평창올림픽 폐회식 축하사절”이라며 “남북 간 현안은 관련 부처와 회담을 갖고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철은 서훈 국가정보원장, 조명균 통일부 장관 등과 회담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25∼27일 체류 기간 중 26일은 공식 일정이 없는 만큼 관계부처와 릴레이 회담이 이뤄질 전망이다.
북·미 또는 남북·미 간 실무접촉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미 접촉 가능성은) 적지만 완전히 닫을 수도 없다”며 “실무접촉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지만 극비리에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예상보다 큰 ‘김영철 반감’… 靑, 北대표단 면담 공개 고심
입력 2018-02-25 1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