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2900여명 생계 막막
市 작년 고용률 52% 그쳐
정헌율 시장, 재난지역 지정
협력업체까지 확대 촉구
한국GM 군산공장 폐쇄에 따른 파장이 익산으로 확산되고 있다. 군산지역은 정부의 지원방안이 속속 마련되고 있지만 인근 지역은 배제돼 있어 공장 폐쇄에 따른 파장이 더 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2일 전북 익산시에 따르면 익산에는 GM 협력업체가 23곳이나 되는데 이들 업체도 군산공장 폐쇄에 따른 직격탄을 맞게 됐다. 익산에는 ㈜SH글로벌 등 1차 협력업체 4곳과 G.H테크 등 19곳의 2차 협력업체가 있다. 직원은 1차에 1100여명, 2차에 180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협력업체가 많다보니 지역경제 침체는 물론 직원들의 고용까지도 위협받고 있다. 익산지역은 고용률이 전국 꼴찌 수준인 상황에서 이번 GM 여파로 고용시장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실제로 전날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익산의 지난해 하반기 고용률은 52.1%에 그쳐 77개 시 지역 최하위를 기록했다. 군산은 52.6%로 바로 앞자리였다. 익산과 군산이 최저 1, 2위라는 불명예를 안은 것이다. 익산은 익산공단의 제조업 불황, 군산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폐쇄에 따른 여파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익산시는 긴급 위기대응반을 꾸려 각 협력업체를 파악하는 한편 피해 최소화를 위해 부심하고 있다. 정헌율 시장은 이날 긴급기자회견을 갖고 정부의 고용재난지역 및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을 협력업체까지 확대해 줄 것을 촉구했다. 또 지역협력업체에 대한 지방세 지원과 함께 지방세 징수유예, 세무조사 유예 등의 지원방침도 내놓았다. 정 시장은 “현 상황을 익산 산업·경제의 비상 상황으로 인식하고 위기 타개에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익산=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조선업 침체로 경기 빙하기
인구도 4년간 8.6% 급감
고용위기지역 지정 건의 방침
울산 동구는 조선업 불황으로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사실상 빙하기를 맞고 있다. 인구 감소와 내수 부진 등으로 지역경제가 침체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22일 울산 동구와 현대중공업(이하 중공업) 등에 따르면 중공업은 지난해 극심한 수주 절벽에 따른 영향으로 조선과 해양플랜트 사업에서 5000여명이 일감이 없어 손을 놓고 있다. 배를 만드는 도크도 지난해 3월 울산 본사 2개 도크와 군산 도크 1개가 가동을 멈췄다. 현대중공업뿐만 아니라 현대미포조선 1개 도크도 가동이 중단됐다.
중공업은 현금 유동성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지난해 호텔 등 계열사 지분 매각에 이어 울산 동구 서부동 15만여㎡ 규모의 외국인 사택도 매각 절차를 진행중이다.
2013년 말 기준 18만4297명이었던 동구 인구는 지난해 말 16만9605명으로 4년 동안 8.6% 급감했다. 동구지역의 고용보험 평균 피보험자 수도 2016년 6만9183명에서 지난해 5만5428명으로 19.9% 감소했다. 반면 구직급여 신규신청자수는 2016년 6134명에서 지난해 7046명으로 14.9% 증가했다.
실직자들은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행정기관의 기간제 근로자나 공공근로 등 단기 일자리에 몰리고 있다. 16명을 모집하는 공원관리 기간제 근로자에 208명이 지원, 13대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지난해 경쟁률(1.3대 1)보다 10배가 증가한 것이다.
울산시는 지역경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부처에 조선업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기간 재연장을 정부에 건의했다. 울산 동구도 상반기쯤 고용노동부에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건의할 방침이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GM 사태, 조선 침체… 군산·울산 ‘불황 동병상련’
입력 2018-02-23 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