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영어교육 내실화 “평가 기준·예산지원이 관건”

입력 2018-02-25 17:33

교육부가 학교 영어교육 내실화 방안을 올해 연말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공교육의 실효성을 끌어올려 사교육을 억제하겠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가동한 ‘내실화 자문단’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함께 중장기 실행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게 된다. 초·중·고 교원과 교육 전문가, 학부모 단체 추천 위원 등으로 구성된 자문단은 지난 20일 가진 첫 회의에서 활동 계획과 연구 과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벌였다. 논의 과정에서는 수업평가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아는 영단어 개수와 이를 활용한 표현 정도를 따지는, 결과에 치중한 시험 등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정책 연구를 하고 양질의 프로그램을 짜본들 입시 위주 시스템 안에서 실효를 거두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우려가 가시지 않는 상황에서 중·고교 연계 교육과 평가법에 대한 고민은 자문단에서도 꾸준히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자문단의 한 위원은 “영어는 소득 수준에 따른 교육 격차가 큰 과목으로, 공교육이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어야 한다”며 “사교육 제한과 더불어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 체제가 적극 실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영어교육의 내실을 꾀하려면 예산 확충도 관건이다. 초·중·고 원어민 교사는 2013년 7,790명에서 2015년 3,260명으로 반 토막 났고, 외국 대학생이 방과후 수업을 전개하는 TaLK(Teach and Learn in Korea)는 폐지 수순에 놓였다. 영어전담교사를 대상으로 한 심화연수도 예산이 없어 일회성 치레에 그치고 있다. 자문단의 또 다른 위원은 “유익한 영어 캠프 프로그램 예산도 모두 줄었다”며 “현재 수학, 과학이나 융합교육 관련 지원은 크게 늘어난 반면, 영어의 경우 전국 어느 시·도든 예산이 바닥이라고 보면 틀림없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학교에서 책임지는 영어교육’을 기치로 내걸고 자문단 운영 등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논란이 큰 조기 교육의 효과 여부를 검증하는 연구가 수반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반상진 전북대 교육학과 교수는 “국내에서 조기 영어교육에 대한 스트레스가 심한데 실제 그 효과가 있는지, 언어성장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상태다”라면서 “이를 규명하는 면밀한 연구가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일 쿠키뉴스 기자 ivemic@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