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터널 갇힌 울산 동구… 조선소 도크 4개 멈춰서

입력 2018-02-23 05:05
권명호 울산 동구청장(사진 왼쪽)과 김상범 울산고용노동지청장 직무대리, 관계자 등이 22일 오후 동구청 구청장실에서 고용위기지역 지정신청 협의를 위한 회의를 하고 있다. 뉴시스

조선업 침체로 경기 빙하기
인구도 4년간 8.6% 급감
고용위기지역 지정 건의 방침


울산 동구는 조선업 불황으로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사실상 빙하기를 맞고 있다. 인구 감소와 내수 부진 등으로 지역경제가 침체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22일 울산 동구와 현대중공업(이하 중공업) 등에 따르면 중공업은 지난해 극심한 수주 절벽에 따른 영향으로 조선과 해양플랜트 사업에서 5000여명이 일감이 없어 손을 놓고 있다. 배를 만드는 도크도 지난해 3월 울산 본사 2개 도크와 군산 도크 1개가 가동을 멈췄다. 현대중공업뿐만 아니라 현대미포조선 1개 도크도 가동이 중단됐다.

중공업은 현금 유동성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지난해 호텔 등 계열사 지분 매각에 이어 울산 동구 서부동 15만여㎡ 규모의 외국인 사택도 매각 절차를 진행중이다.

2013년 말 기준 18만4297명이었던 동구 인구는 지난해 말 16만9605명으로 4년 동안 8.6% 급감했다. 동구지역의 고용보험 평균 피보험자 수도 2016년 6만9183명에서 지난해 5만5428명으로 19.9% 감소했다. 반면 구직급여 신규신청자수는 2016년 6134명에서 지난해 7046명으로 14.9% 증가했다.

실직자들은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행정기관의 기간제 근로자나 공공근로 등 단기 일자리에 몰리고 있다. 16명을 모집하는 공원관리 기간제 근로자에 208명이 지원, 13대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지난해 경쟁률(1.3대 1)보다 10배가 증가한 것이다.

울산시는 지역경제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부처에 조선업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기간 재연장을 정부에 건의했다. 울산 동구도 상반기쯤 고용노동부에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건의할 방침이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