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정치권에서 요구해 온 ‘포털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소상공인에게 제공하는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서비스를 늘린다.
네이버는 21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네이버 커넥트 2018’을 열고 소상공인이 입점한 온라인 쇼핑몰 ‘스마트스토어’에 향상된 AI와 데이터 기술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AI 기반 상품 추천’ ‘사용자 분석 및 맞춤 마케팅’ ‘광고액 대비 매출액 등 사업 데이터 공개’ 기술이 소개됐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기존 공개된 스몰 비즈니스를 위한 기술에 AI 등 차세대 기술을 접목시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뉴스 편집, 댓글 조작 문제로 불거진 정치적 불공정 논란은 알고리즘 등 기술을 도입해 극복할 계획이다. 한 대표는 “지난해 수많은 정보가 유통되는 플랫폼으로 가져야 할 책임감을 뼈저리게 느꼈다”며 “다시 ‘사용자’에 집중하고 ‘기술’에서 답을 찾겠다”고 강조했다. 다양한 연령·직업을 가진 이용자들에게 개별 맞춤 정보를 제공하고, 사람이 아닌 알고리즘에 뉴스 편집, 댓글 관리를 맡겨 공정성 시비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의미다.
본업인 검색 기술도 AI 기술을 더해 보강한다. 한 대표는 “이달 초 검색 조직과 AI를 맡는 클로바 조직을 통합해 운영하고 있다”며 “연말이면 이용자들이 개인별로 다른 맞춤형 검색 결과를 보게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서비스 개선 방안도 준비 중이다. 한 대표는 “(현행 20개로 제한된 댓글 개수를) 변경하거나 폐지하는 등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정책을 만들 때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네이버 “댓글 제한 개선 검토… 소상공인몰 AI 서비스 확대”
입력 2018-02-21 20:20 수정 2018-02-22 1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