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사진) 외교부 장관은 평창 동계올림픽 폐막 이후 미국이 대북 독자제재에 나설 가능성에 대해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21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업무보고에서 미국의 추가 대북 독자제재에 대한 질의에 “(미국이) 갑작스럽게 하는 것은 아니고, 계속해서 이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며 이같이 답했다. 이어 “미국은 북한 압박 차원에서 독자제재를 계속 검토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이를 발표하고 있다”며 “추가 제재를 하더라도 우리와 협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 장관은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한·미동맹 균열 우려가 크다는 지적에는 “서울과 워싱턴DC 간 항상 같은 말을 할 수는 없다”며 “이견은 있지만 균열이라는 평가는 과도하다. 동의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우리 정부가 최근 방한한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에 비해 홀대했다는 지적에 대해선 “홀대인지 아닌지는 받은 사람이 판단할 문제”라고 말했다.
강 장관은 북한이 비핵화 논의에 나설 징후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평창올림픽 기간 북한이 보여준 비핵화의 징후가 있느냐’는 질문에 “저로서는 있었다고 평가하고 있지만 구체적 내용은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했다.
강 장관은 ‘포스트 평창’ 과제로 남북 대화의 모멘텀을 북·미 대화로 연결시키는 것을 꼽았다. 한·미 정상 간 전화 통화와 관련해선 “계획된 것은 없다”며 ‘조율도 안 되고 있느냐’는 질문에 짧게 “네”라고 답했다. 외교부는 다음 주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을 미국에 보내 조셉 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북·미 대화 등 북핵 문제를 협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강 장관은 업무보고 때 한·미 간 통상 이슈는 언급하지 않았다. 야당에서 비판이 이어지자 외교부 출신의 이수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통상이 외교부의 주요 업무였는데 박근혜정부 출범 후 강탈해 산업통상자원부로 가져갔다. 외교관들의 로비력이 약해 산업부가 돌려주겠다는 데도 받아가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강경화 “美, 올림픽 이후 추가 대북제재 가능성”
입력 2018-02-22 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