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 고용악화, 1월부터 가시화… 실업급여 신청 1천명 육박

입력 2018-02-22 05:00



현대중공업 조선소 폐쇄 후
연관 업체들 구조조정 여파

GM공장 폐쇄는 더 큰 파고
앞으로 신청자 폭증 예상돼

지난달 전북 군산 지역의 실업급여 신청자가 1000명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6년 사이 최대 규모다. 지난해 하반기 고용률이 전국에서 꼴찌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실업자가 늘어난 영향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달 말 한국GM 군산공장이 문을 닫으면 신청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21일 장석춘 자유한국당 의원이 고용노동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군산시의 실업급여 신청자는 947명이다. 365명이 실업급여를 신청한 지난해 12월과 비교하면 한 달 사이 2.6배 증가했다. 2012년 1월 이후 군산 지역의 월별 실업급여 신청자 통계를 봐도 지난달 신청자 수는 압도적이다. 최근 6년간 실업급여 신청자가 가장 많았던 지난해 1월(768명)보다도 200명 가까이 늘었다.

올 들어 갑작스레 군산 지역의 실업급여 신청자가 늘어난 것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폐쇄의 후폭풍이란 평가가 지배적이다. 군산조선소가 폐쇄한 지난해 7월 실업급여 신청자는 575명에 불과했다. 이후 5개월 동안에도 300∼500명 사이를 오갔다. 하지만 조선업과 연관된 업체들의 구조조정이 잇따르면서 지난달 실업급여 신청자가 급증했다는 분석이다.

징후는 이미 지난해부터 감지됐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2017년 하반기 지역별 고용조사’를 보면 군산시의 지난해 하반기 고용률은 52.6%에 그쳤다. 특별·광역시를 제외한 전국 154개 시·군 가운데 익산시(52.1%)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국의 시 지역 평균 고용률(58.7%)과 비교하면 6.6% 포인트나 낮았다. 조선업 불황의 직격탄을 맞은 경남 거제·통영시의 상황이 군산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한국GM 군산공장 폐쇄는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역시 조선과 마찬가지로 부품 등 후방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정부가 고용위기지역 지정에 목매는 것도 이런 상황이 작용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공장 폐쇄 여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신준섭 정현수 기자 sman321@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