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정상화를 위해 국회와 GM 본사 경영진이 20일 만났다. 노조도 여당을 만나 요구사항을 밝혔다. 한국GM을 살리자는 총론에서는 이견이 없었다. 하지만 여야는 ‘경영 개선’, GM은 ‘정부 지원’, 노조는 ‘물량 배정’을 강조해 이해 관계자마다 방점은 달랐다.
여야 의원들은 이날 GM 배리 엥글 해외사업부문 사장과 한국GM 카허 카젬 사장 등 경영진을 국회로 불러 군산공장 폐쇄 대책을 논의했다. 엥글 사장은 간담회에서 “한국에 남아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 수십만 개 일자리의 수호자가 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자동차 시장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신차 두 종류를 부평, 창원 공장에 투자(배치)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엥글 사장은 투자 계획이 한국 정부 지원이 전제된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확답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또 군산공장의 경우 20% 미만의 가동률로 인해 수익 창출이 불가능해 폐쇄 결정을 철회하기 어렵다는 취지로 답했다. 다만 22개 협력업체 5000여명의 근무자 가운데 구조조정의 영향을 받는 인원을 500명 수준으로 최소화하겠다고 했다. 로이터 통신은 “GM은 한국GM이 본사에 진 부채 22억 달러(약 2조4000억원)를 주식으로 출자전환하는 것을 제안하는 대신 10억 달러(약 1조원) 규모의 금융 및 세금혜택 지원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자유한국당 김성태, 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 등은 GM의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했다. 우 원내대표는 “한국GM에서 과도한 비용이 본사에 납입되고 있고 부품 비용 책정도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고, 김 원내대표는 “제품에 대한 구체적인 플랜과 장기적 경영개선 의지를 자세히 밝히라”고 요구했다.
한국GM 노조도 민주당 한국GM 대책 TF 위원들을 면담하고 요구사안을 발표했다. 노조는 정부 측에 한국GM 특별세무조사, 노동조합 참여 경영실태 공동 조사, 산업은행과 글로벌GM이 맺은 합의서 공개를 요구했다. 또 GM에 대해서는 군산공장 폐쇄 즉각 철회, 외국인 임직원 대폭 축소, 차입금 전액 자본금 출자전환, 신차 투입, 내수시장 및 수출물량 확대 방안 제시, 미래형 자동차 국내 개발 및 한국GM 생산 등 6가지를 요구했다. 임한택 금속노조 한국GM 지부장은 “(글로벌GM은) 자구책이나 미래전망 없이 신차 1종으로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며 “신차물량, 수출물량에 관한 구체적 계획을 내놓으면 노조는 양보할 수 있는 부분은 양보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정부·여당에서는 GM의 ‘벼랑 끝 협상’ 전술에 끌려가지 않겠다는 원칙론이 강해지고 있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한국GM의) 경영 정상화 계획을 보고 입장을 정리하겠다”고 했고,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지난 19일 기자간담회에서 “GM이 그동안 불투명했던 경영에 대한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성수 노용택 서윤경 기자 joylss@kmib.co.kr
그래픽=공희정 기자
GM, 군산 폐쇄 요지부동… 여야 ‘先경영개선’ 촉구
입력 2018-02-20 19:14 수정 2018-02-20 2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