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1786∼1856)의 글씨 3점이 보물로 추가된다. 문화재청은 20일 ‘김정희 필 대팽고회(金正喜 筆 大烹高會)’ 등 조선후기 학자이자 서화가 김정희의 글씨 3점을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김정희 필 대팽고회’는 예서체로 두 폭의 대련 형식에 맞춰 쓴 만년작이다. 중국 명나라 문인 오종잠의 ‘중추가연’ 시에서 유래한 글귀로, “푸짐하게 차린 음식은 두부 오이 생강 나물이고, 성대한 연회는 부부 아들딸 손자라네(大烹豆腐瓜薑菜, 高會夫妻兒女孫)”라고 써 소박한 삶을 예찬했다.
‘김정희 필 차호호공(金正喜 筆 且呼好共)’은 “잠시 밝은 달을 불러 세 벗을 이루고, 좋아서 매화와 함께 한 산에 사네(且呼明月成三友, 好共梅花住一山)”라는 문장을 예서로 쓴 대련 형식이다. 중국 촉나라 시대의 비석 글씨를 응용했다.
또 ‘김정희 필 침계(사진)’는 화면 오른쪽으로 치우쳐 예서로 ‘침계(사진)’ 두 글자를 쓴 것이다. 침계는 김정희와 교유한 윤정현(1793∼1874)의 호다. 호를 써 달라는 친구의 부탁을 받았으나 예서에 ‘침’자가 없던 터라 30년간 고민 끝에 해서와 예서를 합한 서체로 써주었다고 한다. 추사는 18세기 말∼19세기 세도정치 기간에 활동했으며 금석문의 서예적 가치를 재평가한 추사체를 창안해 한국 서예사에 족적을 남겼다.
손영옥 선임기자 yosohn@kmib.co.kr
추사 김정희 ‘침계’ 등 3점 보물 지정 예고
입력 2018-02-20 2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