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이 인도와 베트남에서 ‘신남방정책’을 본격적으로 펼친다. 인도에 처음으로 스판덱스 공장을 짓고 현지 내수 시장을 공략한다.
효성은 20일 “조현준(사진) 회장이 지난 18일(현지시간) 인도 뭄바이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를 만나 2019년까지 마하라슈트라주(州)에 스판덱스 공장을 짓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효성은 마하라슈트라주 산업도시 아우랑가바드 인근 아우릭공단에서 약 40만㎡ 규모 부지에 공장을 지을 예정이다. 공장 신설을 위해 1차로 1억 달러(약 1070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조 회장은 모디 총리에게 “인도 정부의 전폭적 지지로 신설 공장을 세우게 됐다”며 “효성과 인도 경제가 함께 동반성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모디 총리는 “효성의 투자로 인도의 미래 경쟁력과 산업 기반이 확고히 다져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했다.
효성은 인도 섬유 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효성은 “인도 스판덱스 시장은 2012∼2017년 연평균 16% 이상 성장해 왔고 앞으로도 연평균 12% 이상 성장해 2020년에는 2억 달러 규모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장을 짓는 마하라슈트라주는 인도 섬유의 절반을 생산하는 지역이다.
현재 효성의 스판덱스 브랜드인 ‘크레오라’는 인도 시장에서 점유율 약 60%를 기록하고 있다. 주로 히잡 등 무슬림 의류와 란제리, 스포츠웨어, 데님, 기저귀용 스판덱스에 쓰인다. 효성은 “앞으로 시장점유율을 70%까지 늘리겠다”며 “신규 공장이 본격 가동되는 2020년에는 고부가가치의 프리미엄 시장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 회장은 지난 8일에는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를 만나 화학과 중공업 부분 투자 확대 방안을 설명했다. 효성 관계자는 “조 회장이 ‘100년 효성’의 전략적 기반으로 베트남과 인도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효성 베트남’은 유럽 및 아시아 시장을 대상으로 스판덱스, 타이어코드 등 핵심 제품을 생산하는 글로벌 전초기지로 육성하고 ‘효성 인도’는 인도 내수 시장 공략의 첨병으로 키운다는 전략이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그래픽=안지나 기자
효성, 인도에 첫 스판덱스 공장 짓는다
입력 2018-02-20 18:40 수정 2018-02-20 1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