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올해 91억원을 투입해 노숙인 자립을 돕는 일자리 종합계획을 추진한다. 단순 일자리를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돕는다.
서울시는 ‘2018년 노숙인 일자리 종합계획’을 시행해 2700개 일자리를 지원한다고 19일 밝혔다. 지난해 일자리를 얻은 2683명의 노숙인·쪽방주민 중 민간 일자리를 찾거나 중도 이탈한 사람을 제외한 나머지 50∼60%에 노숙인을 추가로 참여시켜 총 2700명의 노숙인 자립지원에 나선다.
서울노숙인일자리지원센터를 통해 자격증 취득지원 프로그램과 취업성공 열린학교도 새롭게 운영한다. 일하는 노숙인의 자조모임도 만들어 네트워크를 통한 마음 치유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2700개의 일자리는 민간일자리에 1155명, 공공일자리에 1080명, 공동·자활작업장에 465명으로 구성된다. 공공일자리의 경우 근로능력을 갖춘 노숙인에게 지원하는 일자리 갖기 사업(공원 청소, 장애인 작업장 보조, 사무 보조 등)과 장애인이나 질환자들에게 제공하는 특별자활사업(보호 시설 및 주변 청소, 급식 보조 등)으로 구성된다.
서울시는 노숙인을 대상으로 근로능력을 평가해 5개 그룹으로 나눠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근로 능력이 낮은 그룹은 공동·자활작업장으로, 근로능력을 갖춘 그룹은 공공일자리로 우선 배치하고 능력에 따라 자활 단계를 높여가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민간일자리를 찾아 사회에 복귀할 수 있도록 자립을 돕는다는 취지다.
2016년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오는 9월 서울광장에서 ‘취업취약계층 일자리박람회’를 개최한다. 민간일자리 취업이 가능하도록 면접과 이력서 작성, 증명사진 촬영 등도 지원한다.
일자리 뿐 아니라 개인능력 향상을 위해 인문학 강의와 예술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노숙인 건강을 위해 현직 의사가 참여하는 진료도 진행한다. 김인철 서울시 복지본부장은 “일자리가 지속되고 안정 단계에 접어드는 것이 중요한 만큼 관련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서울시, 노숙인에 2700개 일자리 지원
입력 2018-02-19 21:33